메뉴

농식품부, 2022년 예산안 16조6,767억원 편성

탄소중립·스마트농업 확산 등 집중

URL복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022년 예산안을 올해대비 2.4%(+3,911억원) 증가한 16조6,767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농식품부의 2022년 예산은 포스트 코로나·기후변화 등 새로운 정책환경에 대응해 △탄소중립 △스마트농업·데이터 활용 확산 △농촌재생 △식량안보 및 농업경영 안정 △취약계층 복지 강화 등 크게 다섯 가지분야에 중점을 뒀다.

농식품부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내 농업·농촌도 탄소중립 이행기반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농업분야의 대표적인 탄소배출부문인 축산활동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도록 소 사육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사육모델을 마련(26억원)한다. 전체 전력 사용량에 상응하는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RE100을 농촌마을 단위로 지원(18억원, 4개소)해 농촌의 에너지자립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농촌지역의 재생에너지시설 보급도 계속 확산한다. 에너지사용이 많은 온실단지를 중심으로 지열·폐열 등 재생에너지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설치를 지원(29억원, 2개소)한다.

기존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퇴·액비화 시설에 민간에너지기업 등이 참여해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추가 설치(6개소, 82억원)하며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지역에서 활용하는 등 주민 이익공유 방식의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설치(28억원)를 신규 지원한다.

기후변화와 고령화에 대응하고 노동집약적인 농업구조를 보완할 수 있도록 스마트농업을 확산, 데이터경제를 활성화한다.

초기진입 비용이 높은 스마트팜의 특성을 고려해 기존 농업인과 청년농업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6개소 추가 설치(410억원)해 총 12개소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올해 말부터 완공예정인 혁신밸리에 스마트팜 기자재 실증 서비스(23억원)를 지원하고 청년농 대상 장기 실습 프로그램 운영을 70억원, 500명에서 80억원, 600명으로 확대한다.

유통디지털화를 위해 농산물 유통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 산지유통시설에 자동화시설과 경영관리시스템 등을 도입, 스마트산지유통시설(112억원, 17개소)로 탈바꿈한다. 농산물 온라인 도매거래가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2022년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온라인 거래 결제자금 융자도 지원(300억원)한다.

또한 스마트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므로 농업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민간의 AI솔루션 서비스 개발지원과 활용을 강화(13억원 → 23)하고 기업이 개발한 현장문제해결형 데이터기반 서비스 모델을 농가에서 직접 적용(62억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 업 명

예산

사 업 내 용

데이터기반 스마트농업 확산 지원

6,235

농업 현장에서 농업인이 직면하고 있는 핵심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기반 솔루션·서비스 농가 적용 및 실증 지원

친환경동력원적용농기계기술개발(R&D)

7,341

업기계 동력원을 전기 등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

농촌재생에너지
보급지원

농업·농촌 RE100실증지원

1,800

마을의 주거·농업용 전력 소비량에 상응하는 재생에너지 시설을 저수지, 농업가공유통시설 등에 설치지원

도매유통활성화지원
(융자)

온라인농산물거래소지원

30,000

온라인거래소 운영 활성화를 위해 거래참여자에게 결제자금 융자지원

스마트팜 ICT 기자재 국가표준 확산 지원

스마트팜 ICT기업 재직자 전문교육

900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스마트팜 ICT 기업의 재직자 대상 스마트팜 전문교육 과정 신설 운영

스마트팜 실증단지

혁신밸리 실증지원서비스

2,262

스마트팜 기자재 실증, 재배환경별 생육 실증 등 전문 실증서비스 지원

<2022년 농식품부 주요 신규사업(단위: 백만원)>

한편 농식품부의 2022년 예산 및 기금안은 9월3일 국회에 제출되고 심의·의결을 거쳐 12월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