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설립된 (주)한라(대표 박철홍)는 한라그룹(회장 정몽원)의 모기업으로 토목, 건축, 주택, 플랜트 등 건설분야에서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종합건설회사다. ‘인간을 존중하고 사회에 기여하며 미래에 도전하는 기업’이라는 경영이념으로 송도국제도시 기반시설,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계류장 시설 공사, 경부고속철도 노반신설, 현대백화점 인천송도·대구점 신축 등 국내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으며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 등 해외사업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한라건설은 콜드체인에서 물류유통의 허브인 물류센터 시공에서도 경험을 갖추고 있다. 오산물류창고, 평택 합정 냉동창고 신축 등 현재까지 총 공사비 6,490억여원의 실적을 보유했다. 최근 대림산업과 함께 컨소시엄을 조직해 신축공사를 진행한 화성동탄물류센터 A, B블록 공사는 2016년 4월 착공해 2018년 12월 준공 예정이며 연면적 62만4,000㎡ 규모다. 수도권 남부 콜드체인 ‘중심’ 화성동탄물류센터는 물류단지규모에서 아시아 최대다. A블록은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연면적 13만5,973㎡, B블록은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연면적 48만7,289㎡다. 특히 콜드체인의 물류유통에서 식품의
2006년 설립된 (주)에이씨알텍(대표 정수철)은 끊임없는 신기술 개발과 고객만족 서비스를 통해 국내 냉동공조 전문기업으로 급속히 성장했다. 급속동결 시스템, 냉동·냉장창고, HACCP 관련시설 및 공조설비 등의 설계와 제조 및 시공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에너지절약형 급속 동결시스템, 냉동·냉장시스템을 설계 및 제조해 새로운 수요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10년 노하우로 효과적 솔루션 제공 콜드체인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냉동·냉장 등 저온시설은 물론 공조설비, FREEZING SYSTEM분야도 에이씨알텍의 전문영역이다. △수산물·축산물·냉동식품·빙과류 등의 냉동·냉장창고 △농산물·임산물·특수작물·과일류 등의 저온창고시설 △TUNNEL&SPIRAL FREEZER 등 급속동결시설 △식품공장 공조 및 급·배기시설 △각종 냉동·냉동 응용 시설 △냉풍건조시설 △물류창고 냉동·냉장시설 △HACCP 관련시설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지난 10여년간 축적해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냉동·냉장부문은 식품 가공공장의 원료 및 완제품 보관이나 생산지 보관창고 및 수도권 물류창고, 계육 가공공장, 식품제조 공장의 냉수제조설비
캐리어냉장은 식품 산지에서 가정의 식탁까지 이어지는 ‘토탈 콜드체인 시스템’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구축하고 있는 기업이다. 산지(예냉과 저온저장고)-운송(차량용냉동기)-저장(냉동창고와 플랜트설계)-유통(쇼케이스)-최종 소비자(가정용 냉장고와 업소용 냉장고)에 이르는 모든 유통단계에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콜드체인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국내 상업용 냉장·냉동시장의 선두주자로서 국내 1위 시장 점유율을 자랑한다. 국내 최초로 고효율 인버터 시스템을 상업용 냉장·냉동에 적용했으며 글로벌 캐리어를 비롯한 다수의 해외 리딩 업체와 협업을 통해 한국에 맞는 CO₂냉동시스템과 CA저장고 등을 개발, 도입했다. 에너지절감 ‘최대 강점’ 캐리어냉장은 대형 냉장·냉동창고 설계 및 시공부문에서 큰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지구환경 보전에 바탕을 둔 냉장·냉동시스템으로 에너지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대형냉동창고는 △제상 시 창고 내부온도상승 △유닛쿨러의 착상량과 상관없이 타이머에 의해 발생하는 주기적인 강제 제상 △부직포 덕트 사용에 의한 정압손실 등 에너지와 직접 관련된 난제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캐리어냉장은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온수 브라인 제상 방식과 제상 시
최고의 엔지니어들이 모여 설립된 수송용 냉동기 전문기업인 (주)웰메이드(대표 최득남)는 All Electric 기반 고효율 차량용 냉동유닛 ‘SERA1000’을 출시하며 콜드체인 저온수송부문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웰메이드는 세계 최초의 전기, 전자제어기반 수송용 냉동기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현재 서브타입 및 트레일러 타입 냉동기 제품을 제조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SERA1000은 산업용 냉동시스템제어분야에서 뛰어난 기술과 노하우로 국내 최고 시스템 제어기술 및 제어기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는 두텍이 제어부분을 맡은점도 두드러진다. 전자제어기반 냉동유닛 서브타입이라 불리는 기존의 중대형 차량용 냉동유닛은 주행용 차량엔진과는 별도의 엔진에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팬까지 연결돼 가동된다. 이에 따라 냉동부하량에 따른 출력제어에 한계가 있으며 시간당 연료소모량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대형 냉동유닛 탑재차량 중 비교적 작은 용량인 5톤 트럭의 경우 주행용 엔진 유류비를 제외하고 순수 냉장냉동을 위한 냉동유닛의 연평균 유류비는 약 1,400만원 수준이다. 이는 물류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배출되는 CO₂양도 많아 환경오염에 악영향
2017년 대한민국은 1인당 국민소득 2만9,115달러를 기록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한 소비에 집중하고 있다. 자연히 인간의 기본욕구에 해당되는 식생활에 대한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전파를 이용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일반인은 원리도 이해 못 하는 스마트폰이 안내해주는 길을 따라 이동하는 시대다. 굴뚝 없는 산업혁명이 시작됐다고 떠들썩하지만 사람들은 결국 식욕이라는 원초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열고 있다. 과거에는 속된 말로 ‘먹고 죽지 않으면’ 식품의 신선도나 맛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그냥 먹었다. 좋은 음식을 찾는 것은 일종의 사치로 치부되던 시절은 그리 오래된 과거가 아니다. 사람들은 좀 더 맛있는 음식, 신선한 식품을 찾고 있으며 동네마다 유기농 농산물 판매점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도 식생활에 대한 욕구충족을 위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갈망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로운 산업의 탄생과 기존엔 단순하게 여겨왔던 산업의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다. 콜드체인(Cold Chain: 저온유통체계)산업이 바로 그것이다. 언뜻보면 단순히 밭에서 수확한 농산
주식회사 (주)한국마이콤(대표 Satoru Takaki)은 1924년 ‘고객과 함께 생각하며 창조하다’라는 모토로 창립된 (주)마에카와의 한국법인이다. 한국마이콤은 창원에 자체 생산공장을 운영하며 1973년 창립이래 산업용 냉동기 및 냉각 장치의 제조 및 시스템 설계, 시공, 컨설팅, 감리 등을 수행하는 열에너지에 관한 토탈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성장했다. 특히 미래지향적 친환경에너지 사용을 선도하기 위해 2008년 자연냉매인 CO₂를 사용하는 히트펌프 ‘ECO PLUS’를 국내 최초 도입하며 산업발전과 환경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마이콤은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각각의 온도에 적합한 자연냉매를 이용한 ‘NATURAL FIVE’ 냉각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에너지절약과 탈프레온을 실현에 앞장서고 폭넓은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기술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결로해결·에너지절약 동시에한국마이콤이 개발한 ‘CO₂히트펌프식 데시칸트 제습기(제품명 chris)’는 오늘날 대형 냉동·냉장창고에서 대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결로문제 해결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CO₂ HP데시칸트의 가장 큰 장점은 온배열을 얻을 수 없는 곳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사용량으로 제습이 가능
1980년 설립된 대륙기연을 모태로 국내 농산물 저장고분야에서 발전을 거듭해 온 월드리프(대표 김용열)는 상업용·영업용 냉동·냉장부문에 사용되는 냉동기유닛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경쟁력을 키워왔다. 이를 농업용부문으로 확장해 현재는 전체 매출의 60% 이상을 농업용에서 발생시킬 정도로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친환경·절전 동시 해결월드리프의 주력 생산품은 소형 콘덴싱유니트(3/4HP, 1HP, 1.5HP, 2HP, 3HP, 4HP, 5HP)와 대형 콘덴싱유니트(3~30HP) 및 농산물 저온저장고 등이다. 정부지원사업을 통한 농가보급은 물론 농수산물 물류센터, 대형 도매시장, 농협, 식료품 전문매장, 대형 유통시설 등 저온저장고가 필요한 전 분야에서 고객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특히 콜드체인의 시발점이 되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저온저장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에너지절감으로 운영비를 크게 절감시키는 ‘친환경 절전형 저온저장고’를 개발해 농가소득 향상에 보탬이 되고 있다. 월드리프의 ‘친환경 절전형 저온저장고’는 2, 3평형 모델이 있으며 폴리우레탄폼을 이용한 저장고다. 독자적인 기술인 ‘절전형 제상 시스템(특허 제10-1266936호)’를 통해 고내 온도유지 및 전기사
(주)삼원기연(대표 최상곤)은 1977년 창립 이래 고밀도 브림을 이용한 냉동·냉장용 우레탄 강판재 패널과 냉동·냉장기기 전문기업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항상 고객과 함께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냉동·냉장용 패널 및 냉동·냉장기기의 규격화·표준화를 실현했다. 평형별 One-Stop 주문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고품질 제품을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적기공급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감동과 만족을 동시에 선사하는 대형냉장고 콜드뱅크(Cold-Bank)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특히 삼원기연은 중국 장가항에 유한공사를 설립하고 아시아 및 미주지역 수출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비전력 15% 감소삼원기연의 과냉각 냉매 공급을 통한 에너지 절감형 냉장(냉동)고 ‘COLD BANK’는 냉동·냉장장치의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 온도차이를 검출해 팽창밸브에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체를 과냉각 열교환기를 통해 과냉각시켜 공급한다. 플래시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켜 냉동능력이 고내온도 .10~-20℃ 조건일 때 기존대비 10~19% 증가하고 소비전력은 15% 줄여 에너지절감을 이끌었다. 삼원기연이 채용하고 있는 콘덴싱 유닛 중 PL Type은 2, 3, 5마력(220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주)대성마리프(대표 이재경)는 지난 1986년 냉동공조부품 전문기업으로 설립됐다. 1994년부터 수입에만 의존해 사용하던 냉동·냉장시스템용 자동컨트롤러를 국산화에 성공해 시장에 보급, 고객들로부터 신뢰를 한몸에 받고 있다. 또한 5년 전부터는 콘덴싱 유닛과 유닛쿨러, 칠러 등 제조부문에 뛰어들어 2016년 매출액이 6억원을 넘어서는 등 냉동시스템 제조부문에서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절전형 습도조절식 저온저장고특히 2015년에는 농산물의 저장에 적합한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해 최적의 저장환경을 조성하는 습도조절식 저온저장고를 출시해 업계와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습도조절식 저온저장고는 저장할 작목에 따라 최적의 저장온도뿐만 아니라 상대습도도 60~95%까지 조절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저장 농산물의 중량감소 억제와 신선도 보존에 획기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습도조절식 저온저장고는 가동 중에 압축기 1대가 고장나도 여분의 압축기로 지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멀티냉동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2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에를 직접감지해 제상시기와 시간
2004년 창립한 그린시스템(대표 홍요한)은 냉동기기제조업체로 출발해 해외기업이 대부분 점유한 냉동기기 제어시장의 국내 기술발전 필요성을 깊게 느껴 2011년 압력센서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냉동기기 제어용 디지털 다중 압력스 위치인 ‘디지프레서’는 냉동기기 압력계와 압력스위치 각각을 융합해 일체형으로 만들었다. 센서를 더하고 디지털을 접목함으로 인해 당시 외산제품이 주를 이뤄왔던 국내 냉동제어시장에 새바람을 불러왔다. 고가와 A/S가 불편했던 문제를 해소하고 성능까지 좋아 국내 냉동업계가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후 국내에서만 매년 5만여개의 제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디지털화로 편의성 향상그린시스템의 디지프레서는 기존 기계식 압력계와 압력스위치의 디지털화를 촉진시켰다. 냉동기의 고압, 저압, 유압, 중압 등에 적용되는 압력계와 압력스위치 각각 부품을 융복합해 개발한 특허제품으로 압력계 3개, 듀얼 압력스위치 1개, 오일 압력스위치 1개, 팬 제어스 위치 2개를 모두 하나로 묶었으며 통신기능을 넣어 원격지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제어기능 간소화와 업계 최초 고정밀 압력센서를 적용한 냉동기 핵심안전장치가 디지프레서의
산업현장에서 냉동공조설비는 빠질 수 없는 요소로 에너지사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단일 장비당 수백W에서 수백kW의 전기를 소모하고 있다. 가령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체에너지 소비량의 25% 내외를 차지하고 LCC(Life Cycle Cost:생애주기)를 고려하면 30%를 초과해 국가 에너지소비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냉난방공조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으로 에너지소비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는 국가 에너지 총 소비량의 25~40%를 차지하고 있다. 건물에서의 에너지절약방법은 단열, 건물 방위 및 형상 등을 통한 건축계획적 접근방법과 에너지사용기기 및 시스템 운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설비적 접근방법이 있다. 설비적 에너지절약방법 중 단기간 연구개발로 에너지절감을 실현시키는 방법은 건물에너지 운영관리 및 최적화된 제어기술 도입이 해답이다. 이런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위 제어기(기기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되는 컨트롤러) 및 통합 정보 제어 및 운용관리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건물의 열원 및 공조시스템에서의 에너지절약은 주로 시스템의 최적제어 및 신속한 고장진단을 통해 효율을 높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