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체인산업의 급성장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해 물류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요즘에도 여전히 물류창고는 수도권 중심으로 신축되고 있으며 동시에 대량으로 발주되고 있다. 이에 따라 PC(Precast Concrete), 철골, 패널 등 공사가 이미 올해 생산능력을 초과했으며 이는 결국 가격인상으로 이어져 신규 프로젝트의 경우 단위면적당 공사비 측면에서 사업진행이 가능할지 의구심을 품을 정도다. ‘비합리적 방열구법’ 부작용 우려현재 물류창고는 대형화, SMART화, 복합화로 진화 중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대형화재 등 여러 이슈를 낳는 반면 그에 따른 건설 요소기술은 제자리걸음 중인 현상에 아쉬움이 남는다. 1960~1970년대 이후 건립한 냉동창고 방열공사 구법이나 최근 5년 새 폭발적으로 지어진 저온물류창고의 방열공사 구법은 우레탄뿜칠(spray)로 이어져 왔다. 최근 들어 화재이슈로 인해 대체물질, 준불연 이상의 단열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법령 개정기준에 적합 또는 상회한다고 해도 뿜칠(spray)구법 자체가 뿜칠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차이가 발생하고 원액자체가 화합물질이다 보니 전문성 또한 요구된다. 우레탄뿜칠 방열공사업계를 보면
최근 시대흐름에 맞춰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전국 곳곳에서 저온냉동물류창고가 신축되고 있다. 물류시설의 수주물량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자재수급의 불안정,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 공사현장의 인력난 등이 공사비 상승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어 여느 용도의 건축물에 비해 물류창고 신축은 부침이 심하다. 최근 몇 년간 물류창고 화재로 인해 인명과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현장관리의 엄격함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지난 2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시행으로 화재안전기준이 대폭 강화돼 물류창고 단열재는 준불연 이상을 사용토록 의무화돼있다. 그러나 당장 직면한 문제에 대해 저온냉동물류시설의 신축현장들은 법개정 적용시점에만 민감하게 반응해 건축심의 시점의 해당 유무에만 관심을 가지는 상황이다. 저온냉동물류시설에서의 에너지, 화재안전, 온실가스 등과 연관되는 공종은 방열·방습설계와 냉동기부하 계산에 의한 냉동기용량 설정이다. 설계단계에서 여러 환경조건을 고려하고 임차인(화주)의 창고품질 수준에 대한 요구조건과 보관품목, 물동량의 변화 등에 기초한 최적설계를 해야 한다. 그러나 냉동창고의 건축
콜드체인은 저온처리된 상품이 유통돼 고객에 판매되거나 도착하기까지의 여러 단계에 적용된다. 과일이나 야채 등이 수확되고 가축이 도축되는 순간부터 모든 상품은 변질되기 시작하지만 유통되는 상품은 저온으로 처리하고 저장함으로써 변질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 저온처리는 과일, 야채 등에 신진대사를 늦추거나 육류에 박테리아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그 상품들이 음식물 안전의 위해가 없이 전 세계로 물류가 이뤄지게 한다. 이에 따라 가능한 한 가까운 거리에서 상품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것이 좋겠지만 적절한 온도제어를 통해 본래의 신선도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반·저장돼 일정시간이 흐른 뒤에도 고객이 수령하는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설비, 시설, 교통수단이 요구된다. 콜드체인 글로벌 선두인 미국은 ASHRAE를 통해 이러한 콜드체인에 대해 상세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단편적인 부하계산으로 접근할 뿐 통합적인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운영효율화, 30~40% E절감 가능콜드체인은 상품보관에 있어 냉장과 냉동이 복잡하게 시스템을 구성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4억톤의 음식이 보관되고 냉동된다. IIR(International Institute
일본냉동공조협회에서 주관해 격년제로 고베에서 열린 고베심포지움은 1994년에 처음 시작해 올해로 13번째를 맞이했다. 지난 12월 6~7일 이틀간 진행됐으며 환경문제, 가전업체의 신냉매 평가, 냉매회사의 신냉매 소개, 냉매(주로 A3 가연성 냉매)에 대한 리스크 평가, 에너지절감, 컴프레셔 그리고 오일(Lubricant) 총 6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냉매규제가 전 세계적인 화두여서인지 각 세션의 주요 내용은 현재 규제되는 혹은 규제 예정인 냉매시스템의 대안을 찾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신냉매 적용 제품 대거 발표첫 세션은 기후변화 관련내용으로 먼저 유럽의 F-gas규제 현황 및 에너지 소비등급제(Ecodesign) 강화를 통한 효율 낮은 제품의 퇴출 및 안전기준 강화 정책(EPEE: European Partnership for Energy and the Environment)이 발표됐다. 이어 AHRI의 A3(R290) 냉매의 가연성 실험이 동영상과 함께 소개됐다. 결론은 200g 충전에도 폭발이 발생한다는 것이었으며 이에 대한 환기장치 또는 누설 알람장치가 필수적으로 함께 설치돼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중국냉동공조협회(CRAA: China Refri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