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농식품부, 스마트농업 확산…디지털 전환 총력

농업혁신방안 발표…농민·기업·기술 중점 육성

URL복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10월5일 농업생산의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혁신성장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방안(이하 농업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농업혁신방안은 스마트농업을 전 품목에 걸w쳐 많은 농업인에게 보급·확산할 수 있도록 △교육·지식 등 민간역량을 향상 △품목별 도입 지원 △데이터·연구개발(R&D) 성장기반 강화 등을 골자로 한다.

경제협력기구(OECD)는 정보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농업이 효율화·정밀화·무인화를 촉진해 기후변화, 생태계파괴, 노동력부족, 인구변화 및 소비자기호 대응 등 농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 기준 약 23조원으로 추산되는 전 세계 스마트농업시장은 연평균 10%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반면 2021년 기준 약 3,000억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스마트농업시장은 규모와 스마트농업 관련 기술발전과 농가 도입·보급 수준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업혁신방안을 통해 스마트농업 관련 전문지식과 기술활용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육성하고 데이터분석·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 핵심기술을 보유한 시장선도기업을 지원함으로써 농업인과 농가에 스마트농업을 보급해 디지털전환을 이룩하고자 한다.

농민·기업·기술 다방면 육성
농업혁신방안 주요 내용은 △스마트농업 혁신 민간주체 육성 △품목별 스마트농업 도입 확산 △스마트농업 성장기반 강화 등 3가지로 나뉜다.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의 핵심주체인 민간을 폭넓게 육성해 스마트농업이 전 품목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며 첨단기술로 성장기반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민간주체 육성은 농업인, 기업, 전문가 역량 강화를 우선순위에 뒀다. 특히 농업인이 스마트농업 장비와 서비스를 활용해 노동력 부족, 가뭄, 병충해 등 농업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맞춤형 모듈식 기술교육 과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업이 농업인과 함께 기술시연과 실증을 해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농식품부는 농업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이 개발, 상용화될 수 있도록 전문기업 중심 연구개발 등 정책사업 지원체계를 개편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지 스마트팜사업 등의 기획·집행을 기존 시공사 중심에서 스마트농업 전문기업이 주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스마트농업기술을 이해하고 농업현장에 교육·보급할 수 있는 전문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를 2024년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스마트농업 산업인력 육성을 위해 2023년까지 80여명 규모의 특수대학원 등 대학교육 프로그램도 확충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민간 기술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품목별 스마트농업 도입을 촉진하는 정책과제도 추진한다. 딸기, 참외, 화훼 등 주산지의 기존 온실에 보편적기술 기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해 노동력 절감, 물·비료 등 생산요소 투입 최적화 등 현장문제를 개선해나가는 전략이다.

또한 2023년까지 품목별 스마트온실 설계 가이드라인을 보급해 스마트농업 기술·장비가 효율적으로 적용되도록 지원하고 2024년까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첨단온실 조정지역 주변으로 육성지구를 지정해 장비보급, 컨설팅지원 규제완화 등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확산을 뒷받침할 성장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2023년까지 농업현장에서 표준화된 농업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 개방형 스마트농업 데이터·AI 플랫폼을 구축한다.

농식품부는 데이터·AI 플랫폼으로 민간과 공공이 보유한 데이터 공유 및 거래를 장려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시장에서 데이터기반 농업문제를 해결하는 기술과 서비스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선진국과 핵심기술 격차 축소를 목표로 기술개발수요가 많은 부분을 세계적인 추세와 연관성을 고려한 8대 핵심기술을 설정했다. 8대 핵심기술은 △AI 예측 △AI 온실관리 △온실용 로봇 △축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축사관리 △가변관수·관비기술(VRT) △자율주행 △노지 수확로봇 등이다.

농식품부는 현재 혁신방안의 정책과제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연내 국회 제출을 목표로 삼았다. 또한 수직형 스마트온실 설치장소 확대 등 민간 주도 스마트농업 확산에 필요한 규제개선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OECD가 주장한 것처럼 스마트농업이 기후변화, 노동력부족, 환경부담 등의 해결방안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농업인이 스마트농업을 활용하고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이 스마트농업 장비·서비스를 제대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우리 농업인·기업 등이 중심이 돼 스마트농업을 확산시키고 농업을 혁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