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위 : 억원) | ||||||||||
지자체 | 춘천 | 평창 | 옥천 | 공주 | 고창 | 익산 | 부안 | 순천 | 울진 | 김해 |
지원예산 (국고) | 3 | 44 | 49 | 3 | 47 | 49 | 20 | 13 | 14 | 38 |
연번 | 지 역 | 지역 특성 | 푸드플랜 목표 | |
시도 | 시군 | |||
1 | 강원 | 춘천 | 도농 복합 | ◦ 지역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 안전하고 우수한 먹거리 보장체계 구축 |
2 | 평창 | 농촌 | ◦농가소득보장, 건강한 군민, 먹거리로 하나된 평창 만들기 * 2025년까지 지역농산물 연 300억원 관계시장, 참여농업인 1,000농가, 일자리창출 100개 | |
3 | 충북 | 옥천 | 농촌 | ◦안전한 먹거리, 지속가능농업으로 순환과 공생의 행복옥천 실현 * 주민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제공, 농업인의 안정적 소득창출 유도, 지역농산물 지역에서 소비하는 순환체계 구축 |
4 | 충남 | 공주 | 도농 복합 | ◦ 건강한 시민 먹거리 공급, 지속가능한 농업, 지역 선순환경제 구축 * 2025년까지 2,000농가 참여, 500억원 소비시장 창출 |
5 | 전북 | 고창 | 농촌 | ◦ 친환경 안전먹거리 생산확대, 먹거리 접근성 확보, 고창푸드 원재료 조달 확대, 지속가능한 푸드시스템 구축, 먹거리 복지 실현 * (2020→2030년) 식품안정성확보율: 86→95%/ 공공급식 로컬푸드 사용 비중: 12→80%/ 친환경인증농산물 확대: 690→1,500ha/ 음식물 쓰레기 발생감소: 109→76kg/ 식품구매처 접근성: 0.01개소→10배 확대 |
6 | 익산 | 도농 복합 | ◦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만들어 가는 시민이 행복한 미래 먹거리 생태계 구축 * (2020→2025년) 로컬푸드지역내 소비액: 250→1,050억원/ 익산푸드 출하농가: 500→5,000명/ 기업급식 연계형 로컬푸드공급: 20→50개소 등 | |
7 | 부안 | 농촌 | ◦ 지속가능한 농업, 건강한 군민, 자족도시 부안 실현 * 연간 매출액 300억원 달성, 월소득 150만원 1천농가 육성 | |
8 | 전남 | 순천 | 도농 복합 | ◦ 도시와 농촌, 소비자와 생산자가 상생하는 먹거리 선순환 생태계 구축 * (2020→2030년) 로컬푸드 참여농업인수: 900→2,500명/ 직매장 지역 가공품 판매 비중: 15.4→25%/ 로컬푸드 안전성검사 실정: 2,000→4,000건/ 먹거리 관련 고용효과: 13→120명 등 |
9 | 경북 | 울진 | 농촌 | ◦ 모두가 건강한 안전먹거리, 모두가 함께 하는 협동 먹거리 * (2020년→2025년) 친환경인증 농가수: 698→750명/ 지역 가공업체수: 68→100개소/ 공공급식 지역산 공급 비중: 0.4→30%/ 지역농산물 판매지정 음식점: 0→25개소/ 먹거리 미보장률: 7→2% |
10 | 경남 | 김해 | 도농 복합 | ◦ 건강한시민, 행복한 농민, 먹거리로 하나된 김해 * (2021→2030년) 월급받는 농부 3,000농가(150만원), 로컬푸드 이용객 연 100만명, 공공급식 로컬푸드 공급 비율 70%, 사회적경제 활성화(100개 조직, 200개 일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