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해 물류센터시장, 점진적 개선 전망

물류센터 공급과잉 완화⋯ 투자심리 개선

URL복사


올해 물류센터 부동산시장은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서서히 완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기업 JLL 코리아는 최근 발간한 "상업용 부동산 시장: 2024년 회고 및 2025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 물류센터 부동산시장이 2024년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일정 부분 회복탄력성을 보였으며 2025년에는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2024년 물류센터는 국내 투자자들이 오피스시장으로 관심을 돌리며 매수자 풀이 제한적이었다. 해외 투자자들은 물류센터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늘리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체 물류 투자규모는 전년대비 감소했다.


매수인-매도인 간 좁혀지지 않는 가격 차이로 거래종결에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으나 2025년 물류센터 거래시장은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에는 가격조정이 된 NPL(Non Performing Loan: 부실채권)성 기회를 모색하던 시기였다면 올해는 코어성 매물들도 다수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JLL은 2025년 물류센터 부동산시장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경제국들의 금리인하 시작과 함께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시사되면서 부동산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센터는 가격조정이 마무리되면서 코어성 매물들이 다수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리인하로 인한 분모효과(denominator effect) 완화로 부동산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수요가 감소하면서 대규모 자본이 물류센터 시장에 투입될 전망이다.


심혜원 JLL 코리아 리서치 팀장은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투자자들은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포트폴리오의 안정성과 성장을 동시에 추구한다”라며 “다양한 섹터를 검토해 자산을 적절히 배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