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리, 2024년 상각전 영업이익 첫 흑자 달성

조정 EBITDA, 전년대비 1,214억원 개선
손익분기점 유지·성장투자, 투 트랙 전략

URL복사


리테일테크기업 컬리는 3월5일 지난해 처음으로 조정 상각전 영업이익(이하 EBITDA)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컬리가 5일 진행한 ‘2024년 경영실적 어닝스콜’에 따르면 기업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대비 6% 증가한 2조1,95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영업손실은 1,253억원 줄어든 183억원이었으며 조정 EBITDA는 1,214억원 개선된 137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거래액(GMV)은 12% 증가한 3조1,148억원을 달성했다. 통계청이 최근 밝힌 지난해 국내 온라인쇼핑 성장률(거래액 기준) 5.8%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지난해 국내를 덮친 경기침체와 소비위축 속에서 이뤄낸 사상 첫 EBITDA 흑자달성에 대해 기업측은 ‘손익과 성장’을 동시에 집중한 투트랙 전략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미래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금흐름상 ‘손익분기점은 유지’하며 유입된 현금은 ‘성장을 위한 투자’에 사용해 외연확대를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컬리는 지난해 코어 경쟁력강화와 함께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는 양손잡이경영전략에 집중했다. 주력인 신선식품의 경쟁력은 올리면서 뷰티·패션·리빙 등 비식품군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했다. 

파트너사 성장지원과 신규브랜드 발굴 및 라이브커머스 등 서비스도 강화했다. 그 결과 마켓컬리와 뷰티컬리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특히 뷰티컬리는 거래액 기준 전년대비 23% 신장하며 서비스런칭 2년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다.

매일 무료배송 등 장보기혜택을 대폭 개선한 컬리멤버스효과는 고객활동성 강화와 수익성 제고로 이어졌다. 지난해 말 기준 누적가입자 수는 140만여명으로 전체 거래액 중 멤버스 가입 고객의 결제비중은 50%를 차지했다. 

지속가능한 수익구조구축을 위한 비용절감 측면에서는 물류센터효율화가 주효했다. 김포·평택·창원 등 컬리 물류센터는 자동화 프로세스 및 주문처리 효율개선과 안정적인 운영 등으로 운영비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컬세권 확장과 신사업진출 등 수익원 다각화도 EBITDA 흑자 원동력 중 하나였다. 지난해 샛별배송권역은 2월 경주를 시작으로 포항·여수·순천·광양·광주 등 11개 지역이 늘어났다. 

7월에는 제주도 하루배송 서비스를 오픈했다. 6월과 10월에는 첫 퀵커머스서비스인 컬리나우 상암점과 도곡점이 각각 문을 열었다. 3P사업 확대와 풀필먼트서비스(FBK: Fulfillment by Kurly) 본격화 등도 수익성 제고에 힘을 보탰다.

컬리의 관계자는 “지난해 신사업과 고객관리에 지속적인 투자를 한 결과 어려운 경기에도 불구하고 손익과 성장에 동시에 집중하며 견조한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올해는 코어 비즈니스 강화와 신사업 발굴 등에 더욱 집중해 10주년을 맞은 컬리의 재도약 원년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