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김춘진)는 최근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밀키트(간편조리세트) 등을 포함한 즉석조리식품의 2021년 세분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즉석조리식품의 국내시장 규모는 2020년 출하액 기준 2조118억원으로 전년대비 18.7%, 2016년대비 145.3% 증가했다. 즉석조리식품시장의 꾸준한 성장요인은 △편의점 확대 △품질향상 △코로나19로 인한 집밥수요 증가 △가정 내 에어프라이어 보급률 증가 등 영향으로 분석된다.
즉석조리식품의 소비경향 및 시장전망 등을 파악하기 위해 온라인 소비자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가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밀키트를 구입한 경험(63.6%)이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또한 즉석밥(82.8%), 카레·짜장·덮밥소스류(77.4%), 국·탕 찌개류(75.6%)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구입이 증가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즉석조리식품은 밀키트(66.0%), 국·탕·찌개류(54.2%), 즉석밥(42.5%)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집밥 수요증가 △맞벌이‧1인 가구 증가 △간편하게 끼니를 해결하려는 경향 등 복합적인 이유로 밀키트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가 선호하는 즉석조리식품으로는 한끼 식사대용이 가능한 제품(24.8%)이 가장 높았으며 △좋은 맛, 높은 품질의 제품(22.8%) △전국 맛집·유명 음식점 포장제품(20.2%)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즉석조리식품을 식사대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한끼를 먹더라도 맛있는 음식을 즐기려는 욕구가 강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2020년 즉석조리식품 수출액은 3,493만달러로 전년대비 35.1%, 2016년대비 323.1% 증가했으며 수출물량도 1만3,563톤으로 전년대비 20.0%, 2016년대비 390.7% 증가했다.
최근 해외시장에서 온라인 영상콘텐츠를 통한 한국 음식문화의 노출이 증가하고 있고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먹방영상이 인기를 끌며 직접 먹어보려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즉석조리식품 생산 및 유통‧판매 현황, 소비특성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산업통계정보 누리집(http://www.aTFIS.or.kr)에 게재된 ‘2021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즉석조리식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