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와 한국환경공단이 냉매도입부터 사용·충전·회수·폐기 전 과정에 협력한다.
서울시는 지난 8월26일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과 냉매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냉장고, 에어컨 등 냉방·냉동기기에 들어가는 냉매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매우 높아 소량배출만으로도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통이 가장 활발한 수소불화탄소(HFCs) 계열 냉매는 이산화탄소에 비해 적게는 수백배에서 1만2,000배에 달하는 지구온난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2018년대비 2022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7.6%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소불화탄소(HFCs) 배출량은 40% 증가해 냉매전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HFCs계열의 대표냉매 R-134a는 1톤 누출 시 1,430톤 상당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이는 연간 소나무 20만그루가 흡수하는 양이다.
최근 폭염심화에 따른 냉방수요가 증가하며 산업 전 분야에서 진행되는 ‘AI혁명’으로 데이터센터(DC) 가동이 폭증하는 등 냉매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냉매에 대한 문제인식과 체계적 관리가 더욱 강조됨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12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2035년 냉매배출량 2,000만톤 감축을 목표로 하는 ‘HFCs 관리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Low GWP냉매 전환 △사용단계 신고·누출관리 강화 △관리대상범위 확대(현행 20RT→10RT) △폐기단계에서 냉매회수 강화 등이다.
공공부문에서는 비법정 관리대상에 대해서도 법정기준에 준하게 관리의무를 강화하고 기기 교체·폐기 시 냉매회수를 의무화하는 등 더욱 강화된 관리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다.
공공부문 냉매관리 강화… 민간확산 예정
지난해 9월부터 냉매 관리 디지털 전환 시범사업을 실시해왔던 서울시와 한국환경공단은 협약을 통해 정부의 냉매관리 강화기조에 발맞춰 공공부문부터 선제적으로 냉매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양 기관 협력으로 냉매의 생산·사용·회수·처리까지 전 과정을 데이터로 추적·관리하는 전주기플랫폼이 가동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기플랫폼 ‘냉매정보관리시스템’은 전국 냉매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전산시스템이다.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작년 시범사업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올해 상반기 시스템고도화사업을 진행해 개선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광역지자체 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도 관리계통에 추가할 뿐만 아니라 전주기관리를 위한 충전량, 보충량, 회수량 등 이력관리기능과 냉매정보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환산해 담당자가 정책기초자료로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양 기관은 향후 관리범위 확장을 통해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며 민간건물·산업체로 확산시켜 도시전체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끌어낼 계획이다.
올해 9월부터는 냉매기기관리자를 대상으로 집합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며 집중관리 필요시설 40개소를 대상으로 현장밀착컨설팅과 냉매누출 점검도 병행해 서울시 소유건물 냉매기기를 관리할 예정이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냉매는 적절히 관리된다면 누출을 방지하고 회수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노력으로도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다”며 “앞으로도 공공부문이 먼저 책임을 다하며 시민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의 새로운 길을 열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수기로 관리해 오던 냉매관리기록부를 냉매정보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전자표지(QR)를 통해 관리자가 간편하게 조회·입력할 수 있도록 시 소유시설 72개소에 2,765장의 전자표지를 보급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