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3월7일 도시 내 부족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확충 전담조직(이하 TF)을 구성해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TF는 급증하고 있는 도시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한 생활물류시설이 입지부족 등으로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발생하는 △택배 운행거리 증가 △교통체증 △대기오염 등의 사회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출범됐다. TF에는 지자체·공공기관(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등)·물류업계 등이 참여한다. 주차장 및 고가교 하부나 철도부지 등 도시 내 유휴부지를 생활물류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7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수시로 TF를 통해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주차장 유휴공간에서 택배 환적작업을 허용해 도시 주차장을 생활물류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주차장 입지나 시간대 등을 중점 논의해 구체적인 실증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근오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관은 “급증하는 도시물동량을 처리하며 종사자 근로여건 개선 및 사회적 비용절감을 위해 물류업계의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이 긴요한 상황”이라며 “민·관이 머리를 맞대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
CJ대한통운의 디지털운송플랫폼 ‘더 운반(the unban)’이 화주고객확보를 위한 운임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화주의 물류고민을 줄일 수 있는 화물운송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보다 널리 알린다. CJ대한통운은 3월6일 한 달간 ‘더 운반’ 첫 주문 화주를 대상으로 운임 50% 할인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더 운반에 가입한 화주라면 별도신청없이 첫 주문 및 운송완료 건에 대해 운임의 50%, 최대 10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더 운반은 95년 업력을 자랑하는 CJ대한통운의 노하우와 첨단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화물운송 플랫폼이며 업무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운임부담까지 덜 수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운반은 CJ대한통운이 보유한 빅데이터와 AI알고리즘을 활용해 최적운임을 산출하며 효율적인 운송경로와 복화운송으로 운임경쟁력을 확보했다. 또한 △원클릭 주문 △실시간 차량관제 △디지털 정산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 여러 편의기능을 갖춰 고객의 불필요한 리소스소모를 줄이는 동시에 비용절감도 실현했다. 이와 함께 더 운반은 론칭 2년여간 ‘더 운반 차주’ 서비스를 바탕으로 전국의 5만 화물차주 네트워크를 구축해 화주주문에 대해 신속하며 정확한 차량매칭 노
리테일테크기업 컬리는 3월5일 지난해 처음으로 조정 상각전 영업이익(이하 EBITDA)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컬리가 5일 진행한 ‘2024년 경영실적 어닝스콜’에 따르면 기업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대비 6% 증가한 2조1,95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영업손실은 1,253억원 줄어든 183억원이었으며 조정 EBITDA는 1,214억원 개선된 137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거래액(GMV)은 12% 증가한 3조1,148억원을 달성했다. 통계청이 최근 밝힌 지난해 국내 온라인쇼핑 성장률(거래액 기준) 5.8%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지난해 국내를 덮친 경기침체와 소비위축 속에서 이뤄낸 사상 첫 EBITDA 흑자달성에 대해 기업측은 ‘손익과 성장’을 동시에 집중한 투트랙 전략의 성과라고 설명했다. 미래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금흐름상 ‘손익분기점은 유지’하며 유입된 현금은 ‘성장을 위한 투자’에 사용해 외연확대를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컬리는 지난해 코어 경쟁력강화와 함께 신성장동력 발굴에 힘쓰는 양손잡이경영전략에 집중했다. 주력인 신선식품의 경쟁력은 올리면서 뷰티·패션·리빙 등 비식품군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했다. 파트너사
한진은 3월5일 경찰청과 함께 금융범죄예방을 위한 ‘세이프테이프(Safe-Tape)’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세이프테이프캠페인은 금융범죄예방 및 정책홍보 문구를 박스테이프에 프린팅해 소비자들이 택배를 받고 개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반복적인 노출로 소비자들의 경각심을 높이는 것이 주요 목표다. 세이프테이프에는 개인정보 유출방지와 보이스피싱예방을 강조한 문구가 포함되며 경찰청의 다양한 정책도 함께 홍보될 예정이다. 소비자들의 경각심을 높이며 안전한 금융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이프는 약 25만박스에 부착돼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한진은 2020년 경찰청 및 우정사업본부와 함께 장기실종아동을 찾기 위한 ‘호프테이프(Hope-Tape)’캠페인을 실시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해당 캠페인은 ‘2020 대한민국광고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한진의 관계자는 “세이프테이프 캠페인을 통해 금융범죄예방에 기여하며 소비자들의 소중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목표”라며 “ESG경영을 적극실천해 소비자들의 안전한 소비를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로지스올(LOGISALL)그룹계열사 마타주가 3월5일 단 한 개의 의류 및 신발도 저렴한 가격에 최상의 상태로 보관해주는 ‘1개 보관’ 서비스를 신규 런칭한다고 밝혔다. ‘1개 보관’ 서비스는 기존에 박스단위(의류 6벌, 신발 3켤레) 보관만 가능했던 의류·신발 보관서비스를 단일품목별로 이용가능하도록 한 서비스다. 낱개물품도 필요한 기간만큼 자유롭게 보관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1개 보관 서비스는 기존 박스단위 보관이 부담스러웠던 소량보관 수요자를 위해 출시됐다. 단 한 개의 물품일지라도 온·습도 및 보안통제 등 최상의 환경을 갖춘 마타주 전문센터에 보관되기 때문에 집에서 보관 및 관리가 어려운 물품을 안심하고 맡길 수 있다. 특히 1개 보관 서비스는 단일물품인 만큼 이용방식이 번거롭지 않도록 편의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뒀다. 픽업신청 시 종이쇼핑백이나 비닐백 등 편한 방식으로 포장해 집 앞에 두면 수거해간다. 기존의 박스보관 서비스는 보관예약 시 포장재를 신청해 배송받거나 규격에 맞는 종이박스를 별도로 준비해 포장해야 했다. 또한 1개 보관서비스에 대해서는 기존 유료부가서비스인 보관물 사진촬영이 무료로 제공돼 보관한 물품 및 상태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종합물류기업 세중해운이 2월18일 개최된 ‘제3회 콜드체인산업대상’에서 ‘CHAMPION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세중해운은 콜드체인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글로벌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최초로 바이오 물류연구소를 설립·운영하며 바이오의약품 및 신선물류 등 전문 콜드체인분야를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아 CHAMPION AWARD를 수상했다. 세중해운에서 설립한 CXL BIO GSC(Global Supply Chain)센터는 KGSP(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 인증을 통해 의약품유통 품질관리시스템을 구비했으며 국내 최초로 의약품 전용 물류센터의 ‘스마트 물류센터’ 예비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KOLAS(한국인정기구)로부터 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을 받아 콜드체인 밸리데이션센터의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다. GSC센터는 국내 최초로 바이오의약품 운송차량의 온도 적격성을 검증하기 위한 밸리데이션 실내 챔버를 구축해 -20~40℃의 극한의 기후조건에서 차량과 컨테이너의 온도적격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다양한 보관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항온·항습보관소와 냉장보관소, 맞춤형보관소 등이 있으며 최적의 보관환경과 모니터링시스템을 갖춰 의약품 보관과 운송의 허브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마트패키징전문기업 써모랩코리아가 2월18일 개최된 ‘제3회 콜드체인산업대상’에서 ‘CHAMPION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써모랩코리아는 폐종이를 활용한 친환경패키징인 Eco-Liner를 개발해 자원재순환이 용이하도록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CHAMPION AWARD를 수상했다. Eco-Liner는 기존 EPS(스티로폼) 박스를 대체해 온도관리가 필요한 신선식품 및 바이오의약품 배송에 사용할 수 있도록 택배박스 내부에 폐종이기반 종이섬유 보냉재를 결합시킨 친환경패키징이다. 종이로 일괄 배출하거나 재가공을 통한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 최초 구독형 패키징플랫폼인 PaaS(Package as a Service)를 개발했다. 순환물류서비스인 PaaS는 일회용 포장폐기물을 저감하며 제품의 위치, 온·습도, 충격 등의 정보를 클라우드망과 연계해 플랫폼 형태로 차별화된 비즈니스환경을 제공한다. 써모랩코리아의 온도제어패키징은 T12 표준pallet 기준 99% 이상의 정합성으로 10℃ 이하 최대 24시간 냉장유통이 가능해 라스트마일 배송에 최적화된 패키징이다. 이와 함께 E-Paper Display 기술로 종이송장을 대체해 물류프로세스 개선 및 편리성을
탑런콜드체인솔루션이 2월18일 개최된 ‘제3회 콜드체인산업대상’에서 ‘CHAMPION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탑런콜드체인솔루션은 30년 동안 다양한 EPS·EPP 포장재를 제조해 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 공급망관리를 위한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과정 기술력과 품질관리를 기반으로 콜드체인 토탈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콜드체인 포장재, 박스 및 냉매제 등을 직접 설계 및 생산하고 있으며 Io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패키징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제품인 ‘SAFETAiNER’는 고성능 패키징과 실시간추적 및 온도모니터링 기능이 내장돼 운송 중 품질관리를 지원한다. 현재 유니세프를 통해 전 세계에 공급되는 백신, 진단시약 및 희귀질환 치료제 등 수출패키징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초저온상태로 보관과 운송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용기 전복 시 방사선 누출위험이 있는 방사성의약품도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수출용 냉동운송용기를 개발했다. 해외 6개국 8개법인을 통한 밸리데이션 및 해외영업망을 구축해 글로벌 콜드체인 물류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60℃ 이하로 144시간 지속가능한 운송시스템을 확보해 수출 및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프레시존이 2월18일 개최된 ‘제3회 콜드체인산업대상’에서 'START-UP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프레시존은 공공급식(어린이집) 식재료의 비대면 및 문앞 배송으로 인한 상온노출 우려 등으로 인해 온도변화에 민감한 식육 등에 대한 위생안전(부패, 변질 등) 대책에 따라 2024년 서울시에서 시행된 ‘콜드체인 감시라벨’ 공급자로 선정돼 공공부문 식품안전관리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콜드체인 감시라벨은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노출 시 라벨 색깔이 변화해 식품 등이 콜드체인 상태로 안전하게 유통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식품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며 상태를 알수 없어 쉽게 버려지는 식자재 및 식품 등의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과냉동, 재운송, 과다재고 등 비효율적인 유통관행을 줄임으로써 발생되는 탄소배출양을 현저히 줄여줘 탄소중립 목표에 도움을 준다. 경기도 수산물 유통관리, 포항시 과메기 유통 안전관리 감시라벨, 제과업체의 빵 재료 안전관리시스템 등 민간부문에서도 널리 활용돼 소비자의 안전한 식생활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우수한 콜드체인시스템의 구축·운영으로 콜드체인 모니터링산업에 기여해 20
와이와이소프트가 2월18일 개최된 ‘제3회 콜드체인산업대상’에서 ‘START-UP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와이와이소프트는 국제표준 GS1기반 공급망 이력추적솔루션을 개발해 미국의 식품공급망 이력추적규제인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EU의 공급망실사법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에 대응이 가능해 콜드체인 K-푸드 수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START-UP AWARD를 수상했다. 글로벌 규제를 효과적으로 준수하기 위해 GS1 국제표준 EPCIS 2.0을 기반으로 공급망 전과정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No Code기반으로 복잡한 개발과정을 대체해 비전문가도 데이터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공급망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폭넓은 활용성을 보장한다. 최근 ‘노코드(No Code)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수산물 공급망 정보제공 기술’로 해양수산신기술 인증도 획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4년 글로벌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마켓 플레이스 지원사업과 아마존클라우드 AWS의 마켓플레이스 SaaS기업으로 선정돼 글로벌 SaaS시장에서 식품안전과 공급망 추적성을 제공하는 발
유진그룹계열 로봇·물류자동화 전문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TXR Robotics)가 차별화된 물류자동화기술력을 토대로 본격적인 상장일정에 진입했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2월2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상장 이후 성장전략과 비전을 발표했다. 티엑스알로보틱스는 물류자동화 전문기업 ‘태성시스템’과 로봇자동화 기술력을 보유한 ‘로탈’이 합병해 탄생한 기업으로 2017년 설립됐다. 차별화된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프로세스전반을 혁신하며 사업영역을 확대해 왔다. 폭넓은 로봇 및 물류자동화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다양한 산업군의 자동화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로봇자동화와 관련해 초정밀센서 도킹기술이 탑재된 자율주행로봇(AMR)을 자체개발했으며 전방향 이동이 가능한 메카넘 휠(Mecanum Wheel)을 적용해 국내 최초 상용화에 성공했다. 물류자동화부문에선 초소형·초고속 분류기술이 탑재된 소터(Sorter)제품라인업을 확보했으며 국내 이커머스 납품기준 ‘휠소터 시장점유율 1위’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역량을 모두 내재화해 프로젝트기획부터 설계·조달·제작·시공·유지보수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고객맞춤형 턴키(Turn-Key)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티엑스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