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도척저온물류센터에 고효율·고성능 자재·설비·공법이 적용될 수 있었던 것은 사업관리를 맡은 간삼종합건축사사무소(대표 김태집, 이하 간삼건축)의 역할이 컸다. 간삼건축은 냉동·냉장 물류창고의 에너지비용·효율향상을 위해 엔지니어링 기반의 설계·감리솔루션 역량강화를 추진 중이다. 사업관리단장으로서 프로젝트를 이끈 설경모 간삼건축 상무를 만나 도척저온물류센터의 차별성에 대해 들었다. ▎도척저온물류센터 주안점은사업관리단은 최우선적으로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안전에 대해 역점을 뒀다. 화재에 취약한 유기화합물의 일종인 우레탄 소재에 대해 품질이력관리가 용이토록 원자재부터 혼합원료인 폴리올(polyol), MDI까지 업체방문, 품질서류 검토·확인 등을 거쳤다. 국토교통부 고시 감리세부기준에 따라 단열(방열)공사 시 동시작업 금지와 사전 작업허가제를 실시해 근로자 보호에 만전을 기했다. ▎ 도척저온물류센터의 차별성은도척저온물류센터에는 엔지니어링 기반의 햑신적인 공법을 적용했다. 시공단계에서 변압기, LED, 인버터제어 등 에너지고효율인증제품을 선택했으며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해 넓은 옥상광장에 400kW 태양광 발전을 제안, 추가공사가 진행될 예
메테우스자산운용은 지난 2017년 설립돼 2018년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한 부동산전문 자산운용기업이다. 신생기업임에도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하며 부동산 대체투자부문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냉동·냉장창고 등 물류센터개발 투자 시 에너지효율과 단열계획을 고려함으로써 탄소중립시대에 콜드체인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메테우스에서 투자운용부문을 이끌고 있는 김정현 대표는 부동산개발 및 기획, 부동산투자·운용·관리 등 19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콜드체인 물류센터 개발사업을 지속할 계획이며 데이터센터 등으로 투자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김정현 대표를 만나 최근 완공한 도척물류센터의 특장점을 중심으로 콜드체인분야 투자현황과 계획에 대해 들었다. ▎ 메테우스를 소개하면메테우스는 2018년 6월 전문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을 시작으로 금융투자업에 첫발을 내디뎠다. 메테우스자산운용 임원진들은 안정적인 자산운용과 투자자의 수익실현이라는 목표하에 다각화된 네트워크와 3조원 이상의 주식·채권·부동산 펀드를 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부동산 펀드를 중심으로 운영해왔다. 특히 부동산 대출형펀드를 중심으로 운용하던 이들은 이제 부동산 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뿐만 아니라 펀
최근 준공된 ‘광주도척 저온물류센터’가 엔지니어링 기반 에너지효율·방열 설계 및 시공으로 콜드체인 저온물류창고 수준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테우스자산운용이 지난 8월20일 경기도 광주에 신축·완공한 도척저온물류센터는 저온물류창고 관련 기술기준 및 가이드라인이 없는 국내 콜드체인 산업환경 속에서도 평당공사비 20~30% 증액을 감수하고 고효율 CDU 및 유니트쿨러, 인버터 냉각탑, 고단열·준불연 고무발포단열재 등 고성능 설비·자재를 적용했다. 에너지다소비 시설인 저온물류창고는 글로벌 아젠다로 대두된 탄소중립 이슈에 따라 에너지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산업지형에서 저온물류창고의 패시브·액티브시스템을 논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질적인 에너지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한 공학적 관점의 패시브·액티브시스템을 구현하려면 설계 전 기획단계부터 목표와 기준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성능에 적합한 최적부하를 산출해 시스템 용량 및 공법을 선정함으로써 기술집약적 냉동·냉장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물류창고 건설현실은 사업논리가 앞서고 있으며 위치선정, 인허가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미국 ASHRAE, 일본 J
냉동창고 화재사고 방지할 수 있는 무용접 냉매배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작업부주의로 인한 냉동창고 화재사고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지난해 4월 이천에 위치한 물류창고 건설현장에서 냉매 배관용접 중 생긴 불티가 벽면 우레탄폼에 옮겨붙으며 화재가 발생해 38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뿐만 아니라 지난 4월에는 남양주에 위치한 19층 오피스텔 건설현장에서 에어컨 실외기 배관용접 중 또다시 화재가 발생해 작업중이던 인부 1명이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처럼 배관용접 중 생기는 불씨로 인해 대형화재가 발생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무용접 배관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5~2019년 동안 발생한 용접사고 건수는 총 5,829건으로 나타났으며 장소별로는 산업설비 공사가 31.1%로 가장 높았다. 이로 인해 사망 32명, 부상 412명 총 44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경제적인 면에 있어서도 용접으로 인한 발생한 화재의 피해가 전체 평균보다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전체 화재 재산피해는 건당 5,374만8,000원인 것과 비교해 용접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는 9,959만3,000원으로 심각한 실정이다. 무용접
수도용 스테인리스배관 연결구 선두기업 에버테크코퍼레이션(대표 우지현)은 수도용 스테인리스배관 조인트시장에서 오랜 기간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냉매용 배관연결구인 ‘후크조인트’를 출시하며 에어컨 냉매배관시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에버테크가 개발한 냉매용 배관연결구인 후크조인트는 포스코에서 개발한 고연질 스테인리스 배관(PossFD)뿐만 아니라 기존 동관에도 모두 적용 가능한 조인트로 무용접, 무공구 시공으로 에버테크만의 특징인 원터치 삽입방식기술을 냉매용 배관에도 적용시켰다. 에버테크의 냉매용 후크조인트는 안전성, 기밀성, 시공성, 경제성이 우수한 친환경제품으로 전용공구 없이 손으로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화기를 사용하지 않아 화재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친환경 배관연결구다. UL인증 취득 후 국가신기술 NET(산업통상자원부), LH신기술인증(한국토지주택공사), 14개 공공기관협의체 SOC기술마켓 혁신기술 인증 등 국내〮외에서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에어컨제조사 승인절차 진행에버테크는 6.35~15.88mm 4종의 배관규격에 맞는 △소켓 △엘보 △플레어소켓 △플레어엘보 △유니온 소켓 △유니온엘보 △레듀서 등 7개 종류 총 27
1889년도 설립된 불칸은 독일에 헤르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불칸 카프링 △불칸 드라이브텍 △불칸 로클링 등 3개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불칸코리아는 조선 중공업분야의 육·해상 카프링과 제동장치 및 무용접 냉매연결구인 ‘로클링(Lokring)’ 등을 판매하고 있다.무용접 로클링은 1970년대 미국 NASA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우주공간에 위험한 화기작업 대처용으로 개발된 부품이다. 불칸코리아의 관계자는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냉매 활성화로 냉동공조시장은 앞으로 점진적으로 폭발성이 있는 냉매 사용이 확대 될 것이며 친환경냉매 사용 또는 화기사용으로 현장규제가 늘어나고 있다”라며 “현재 대형 건설현장에 화기작업을 하기위해는 작업자 안전교육 및 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가 감독해야 하므로 인건비 상승이 야기되고 있으며 용접기술자 인건비도 매년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압착방식, 완벽한 결속력 자랑불칸 로클링을 사용하게 되면 용접대비 40~60%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재료절감, 심플한 작업환경, 허가증 및 특별한 기술 불필요, 생산성 또는 안전성 증가, 독성 또는 화재위험이 없다. 불칸의 무용접 로클링 제품은 △냉장고용 △정수기용 △에어컨용 등 라인업으로 출시하
1917년 미국에서 설립된 파카하니핀그룹은 한국에서 △파카코리아 △파카하니핀커넥터 △파카한일유압 등 3개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 파카코리아는 4개 사업부를 두고 있으며 ‘파카 인스트루먼테이션사업부’에서 무용접 냉매연결구를 사업을 관장하고 있다.현재 파카코리아는 무용접 냉매연결구로 △줌락 푸시(ZoomLock PUSH) △줌락 푸시 Extension line △줌락 맥스(ZoomLock MAX) 등을 출시하고 있다. 특허 받은 압착-연결 배관기술 적용현재 파카코리아의 무용접 피팅류 줌락 푸시는 커플링, 엘보, SAE 플레어 어뎁터(R410A 고정식, 탈착식), 레듀사(탈착식)등을, 줌락 푸시Extension line은 줌락 푸시 볼밸브, 줌락 푸시 서비스 밸브, 줌락 푸시 사이트글라스 등을, 줌락 맥스는 커플링, 슬립 커플링, 레듀서, 캡, 90°엘보, 긴 반경 엘보, 긴 스트리트 엘보, 45° 엘보, 티(Tees) SEA 플레어, P트랩, Y조인트 등이 있다. 파카코리아의 무용접 연결구는 공조시스템, 에어컨배관 등 건설현장에서 비 기술자라도 간단한 설치방법만 익히면 특수 압착기를 사용해 쉽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줌락 푸시는 최대 870psi까지,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냉매 증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해 증발기의 저압 및 저온을 유지시키며 매우 높은 온도의 가스를 응축기로 배출해 주변 공기에 열을 방출하고 다시 액체로 응축되도록 하는 냉동사이클의 심장 역할을 한다. 압축기의 원리인 압축, 응축, 팽창, 증발 과정을 반복하면서 필요한 냉난방공조는 물론 냉동·냉장 등 다양한 용도를 확보할 수 있는 냉동기의 운용에 있어 가장 핵심부품이다. 압축기는 크게 압축방식과 밀폐구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압축방식에 따라 터보형(Dynamic)과 용적형(Positive Displacement)으로, 밀폐 구조에 따라밀폐형(Hermetic compressor), 반밀폐형(Semi–ermetic compressor), 개방형(Open type) 등으로 나뉜다. 콜드체인용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스크류 압축기(Screw Compressor)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는 에머슨이 세계 최초로 선보인 압축기로 현재 전 세계 상업 및 주거지역에서 약 1억5,000만개소 이상에 도입됐으며 스크류 압축기는 산업용 냉
GEA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140년 이상 축적된 다양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낙농 & 프로세싱(Processing), 유제품, 음료, 화학, 식품, 제약 & 헬스케어, 환경, 냉동 & 가열, 마린(Marine) 등의 산업분야에서 기술공정과 설비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RT(Refrigeration Technologies) 사업부의 주력 모델인 GRASSO compressor는 콜드체인 및 냉동공조산업 전반에서 뛰어난 기술력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로 평가받고 있다. 주력모델 ‘GRASSO 스크류 냉동기’GEA는 1969년 스크류 압축기 개발을 시작으로 냉동기의 역사를 함께 써왔다. 1976년 비대칭 4:6로터 프로파일을 최초로 개발했으며 1989년 5:6로터 프로파일로 발전시켰다. 저부하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infinitely variable Vi’ 컨셉을 확립했으며 현재까지 압축기의 기본 디자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GEA의 특허다. GRASSO 스크류 냉동기는 GEA의 주력모델이며 성능, 설치 용이성, 초기투자비, 운용유지비 및 안정성이라는 특화된 장점으로 사용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고효율 모터를
지난 1933년 창업주인 매즈 클라우센이 설립한 덴마크 대표기업인 댄포스는 기계, 전기, 전자류 등의 모든 제품을 자체 기술력으로 생산, 공급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1990년대 독점 총판으로 진행하다가 2002년 총판사업을 인수해 법인화를 진행했다. 크게 클라이미트솔루션즈, 드라이브, 파워솔루션즈 등 3개 사업부로 구성돼있는 댄포스는 인수합병을 통해 사업포트폴리오를 △디지털화 △기후환경변화 △전기전자화 △도시화 △음식안전관련 콜드체인 등 5가지 메가트렌드에 맞춰 변화시키고 있다. 지난 수년간 글로벌 AC 드라이브 전문기업 VACON, 전기모터기업 VISEDO, UQM Technologies 및 AXCO, 열교환기 전문기업 SONDEX 등과 합병했으며 올해도 글로벌 유압 선도기업인 EATON Hydraulics와의 합병을 완료했다.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통해 사업부별 업계 1, 2위 시장점유율을 공고히 하고 있다. 식품의 생산, 푸드프로세스와 관련해 지난해 말부터 다양한 새로운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암모니아설비에서 불응축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댄포스는 8개소까지 퍼징이 가능한 Air purger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암모니아용 스탑밸브는 밸브구조로
미국 미주리주의 세인트루이스시에 본사를 둔 에머슨은 1890년 설립돼 산업, 상업 및 주거시장 고객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술 및 엔지니어링기업이다. 난방, 공조, 냉장 및 냉동솔루션 공급기업인 에머슨은 진보된 기술력, 기술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용, 상업용 및 산업용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에머슨만의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농장에서부터 가공, 운송시설, 슈퍼마켓, 레스토랑 및 편의점에 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콜드체인 전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에머슨 자동화 솔루션사업은 공정, 하이브리드 및 개별 제조사가 생산을 극대화하고 직원과 환경을 보호하면서 에너지와 운영비용을 최적화하도록 지원한다. 에머슨 상업 및 주거용 솔루션사업은 인간의 편안함과 건강을 보장하고 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보호하며 에너지효율성을 전진시키고 지속가능한 인프라를 생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Copeland™, ProAct™ Services 및 InSinkErator®는 에머슨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브랜드로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이 결합된 제품과 솔루션은 물론 고객시스템의 성능과 만족도를 유지하면서 유지보수비용을 포함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