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정부 백신도입TF는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화이자 백신 70만회분을 7월에 공급받고 이를 9월에서 11월까지 순차적으로 반환하는 백신교환 협약을 7월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최근 이스라엘 정부는 접종에 사용하고 있는 화이자 백신의 유효기간이 7월 말 종료, 일부 남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 백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환처를 찾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콜드체인 관리기반과 유효기간 내에 70만회분을 충분히 접종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고 예방접종 참여율이 높아 단기간 내에 접종을 마무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한국·이스라엘 간 백신교환이 이뤄지게 됐다.
이스라엘 내에서 유효기간에 대해 발표한 이후 접종신청자가 늘었으며 12~17세 접종에 활용하게 되면서 교환물량은 70만회분으로 최종 확정됐다.
우리나라는 개별계약을 통해 7월 약 1,000만회분을 포함해 3분기에 약 8,000만회분을 도입할 예정으로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으나 이번 백신교환을 통해 접종속도를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이스라엘 간 화이자백신 교환은 그간 한국·이스라엘 간 외교적 노력을 통해 쌓아온 양국 간의 신뢰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한국과 이스라엘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자협의체인 코백스(COVAX) 출범논의 시부터 유사 입장국으로서 수시로 비공식 협의를 긴밀히 갖고 백신협력을 논의해왔다.
최근에도 올해 5월 이스라엘 외교장관의 방한 등 다양한 계기에 한국·이스라엘 양자 간 백신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어 성공적으로 백신교환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
이번 도입백신은 이미 우리나라에서 허가를 받은 벨기에 생산분이며 이스라엘에서도 7월 접종에 활용하고 있는 백신이다. 정부는 백신도착 후 신속하게 접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즉시 통관을 완료하고 긴급사용승인을 할 계획이다.
이스라엘과의 백신교환을 통해 조기 공급되는 화이자백신 70만회분은 7월7일 오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체적인 품질검사와 국내배송 절차를 거쳐 7월13일부터 예방접종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급되는 화이자백신 70만회분은 당초 7월 공급예정이었던 약 1,000만회분에 더해 예방접종에 활용된다.
먼저 수도권 방역안정화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을 대상으로 지자체 자율접종을 7월13일부터 조기에 시행한다. 확진자가 집중된 서울·경기지역에 화이자백신(34만명분)을 공급해 대민접촉이 많은 직군에 집중접종으로 방역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당 지자체가 대민접촉이 많아 전파위험이 큰 직종 등 대상군을 선정해 7월13일부터 각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백신으로 접종을 시작한다.
아울러 7월 말 시행되는 지자체 자율접종 규모를 확대 시행한다. 당초 7월 말에 44만명 규모로 계획한 지자체 자율접종을 이스라엘 도입 물량을 반영해 80만명으로 확대해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도입으로 백신공급이 앞당겨지는 효과가 발생함에 따라 당초 7월28일부터 접종예정이던 교육·보육 종사자 중 어린이집, 유치원 및 초등 1·2학년 교직원 및 돌봄인력(38만명)에 대한 접종일정을 앞당겨 7월13일부터 전국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을 시작한다. 사전예약은 7월8일 0시부터 10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예약대상자에게는 개별문자로 예약방법을 안내할 예정이다.
그 밖에 교육·보육종사자(초3~중학교 교사, 아동시설 등)에 대한 예약 및 접종은 당초 계획인 7월29일~8월7일 실시한다.
이후 정부는 이스라엘로부터 받은 화이자백신 70만회분을 국내 백신접종이 상당부분 진행된 시점인 9월부터 11월까지 순차적으로 반환할 예정이다.
권덕철 범정부 백신도입 TF팀장은 “이번 한국·이스라엘 백신교환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백신을 예정보다 조기에 공급받아 여름 휴가철 접종속도를 높일 수 있고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백신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윈-윈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제적 백신공조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이번 백신교환은 국내적으로는 국제협력을 통해 백신을 조기 도입하는 의미가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백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정 청장은 이어 “특히 각 국가별로 백신이 필요한 시기가 다른데 한국과 이스라엘 간 백신교환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례로 국제공조를 활성화하는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향후 우리나라도 백신수급과 접종상황을 고려하면서 백신을 우선 제공하고 우리가 필요한 시기에 돌려받는 백신교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국제적으로 백신이 효과적으로 수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