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해상·항공 운임비 상승과 선박부족 등으로 인한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물류애로 해소를 위해 2차 추경 33억원(230여개사 지원)을 확보하고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산업부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사업은 연말까지 수출 계획이 있는 소부장, 5대 소비재, 서비스분야 중소·중견기업 또는 모든 중견기업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
사업신청은 8월2일부터 13일까지 2주 동안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통합관리 사이트(www.exportvoucher.com/shipping)에서 온라인으로 접수를 받는다.
참여기업은 국제운송비(보험료 포함), 현지 물류비용(현지 통관대행수수료, 내륙운송비, 입출고비용, 창고지원)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바우처 한도액인 최대 2,000만원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원하는 민간 포워딩사도 선택할 수 있고 국고지원은 중소기업은 바우처 한도액의 70%, 최대 1,400만원, 중견기업은 50%,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된다.
중기부는 109억원(780여개사) 추경 예산으로 국제운송비와 미주 서안향 대상 수출물량이 있는 중소기업과 국적해운선사(HMM)간 장기 운송계약체결에 대한 장기운송비를 지원한다. 산업부는 중기부와 긴밀히 협의해 추경 물류전용사업 통합 관리지침을 수립·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수출 기업에게 지원하되 중복신청은 사전에 방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코트라는 추경 물류전용 수출바우처 사업참여를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들을 대상으로 8월2일 오후 3시부터 화상토론회(웨비나) 방식으로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사업설명회의 사전등록은 홈페이지(kotra.zoom.us/webinar/register/WN_7TvugebjQwuAvhtcJ3e73w)에서 가능하다.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산업부 추경사업의 주요내용, 중기부 사업과의 차이점 등을 문답(Q&A)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추경과는 별개로 현재 지원중인 171억원 규모의 다양한 물류지원도 병행해 수출애로 해소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1,081개사(1,506건)에게 해외 현지 물류비, 국제운송비, 해외배송비 및 국제특급우편(EMS) 운송료 등을 지원했다.
구분 | 지원 사항 | 현재까지 지원 현황 | 지원 목표 |
금액 | 기업수 | 건수 |
해외공동 물류센터 | 해외 현지창고 보관 및 입출고비용, 포장, 배송, 반품, 통관, 수입대행 등 | 국비 지원 | 43억원 | 322 | 403 | 1,070개사 (50억원) |
100% 자비 (무역관주선) | 0원 | 525 | 667 |
수출바우처 사업 | 수출바우처 내 국제운송 서비스 메뉴판 등록하여 국제운송비 및 보험료 지원 | 코트라 | 3.72억원 | 66 | 146 | 518개사 (60억원) |
중진공 | 4.55억원 | 84 | 187 |
해외전시회 사업 | (코트라) 해외 전시회 참가를 통해 수출한 중소ㆍ중견기업에게 해상ㆍ항공 국제운송료 및 보험료 지원 | 0.8억원 | 16 | 16 | 300개사 (15억원) |
온라인 공동물류 | (중진공) 항공 5백만원, 해상 2백만원 | 지원기업 모집중 | 1,500개사 (40억원) |
소비재 파워셀러육성 | (코트라) 해외 소비자의 상품 구매로 발생하는 해외배송비 | 지원기업 모집중 | 300개사 (3억원) |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 (코트라) 수출신고 기준 1천달러 초과 수출건의 EMS운송료(단, 기업당 최대 200만원) | 0.58억원 | 68 | 87 | 150개사 (3억원) |
합계 | 52.65억원 | 1,081 | 1,506 | 3,838개사 (171억원) |
<수출물류 지원현황>
이와 함께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선박부족 및 높은 해운운임에 대응해 유관기관 및 국적선사 등과 협력을 통해 선복확보, 운임지원 등을 위해 꾸준히 지원해오고 있다.
2020년 8월부터 2021년 7월말까지 국적선사의 임시선박을 총 47척 투입해 화물 13만TEU를 수송했고 유럽향 신조 선박도 8척 투입했다. 특히 물동량 성수기(3분기)를 대비해 미주향 임시선박을 7월에는 월 최대규모인 9척, 8월부터는 최소 월 6회로 증편할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정보와 자금력이 취약한 수출 중소기업을 위해 중기전용 선적공간을 9,393TEU를 제공해왔으며 향후에도 중소기업의 수요에 맞춰 미주향 전용선복량 확대, 동남아향 선복량 신규 배정(150TEU) 등 추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2021년 물류비 예산지원을 121억원에서 추경확보를 통해 263억원으로 확대했고 수출중소기업 대상 200억원 규모의 물류비 특별융자도 지원 중이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이번 추경사업으로 수출기업이 당면한 물류애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수출입물류 비상대응 전담반(TF)’을 상시적으로 운영해 선복확보, 운임지원 등을 통해 수출물류 애로해소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