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LNG냉열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냉동물류단지가 베트남에 구축된다. 친환경 저온물류센터 기획‧설계‧시공‧컨설팅 전문기업인 지이엘(GEL)과 선유이앤씨는 8월21일 베트남 티바이에 구축되는 초저온 냉동물류단지 프로젝트에 LNG냉열 적용을 위한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엔지니어링 등 컨설팅을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베트남 티바이 콜드체인 클러스터 프로젝트’는 베트남 남부 바리아(Ba Ria)-붕따우(Vung Tau)에 위치한 티바이(Thi Vai)지역의 LNG터미널 운영 중 발생하는 냉열을 활용해 기존 전기사용 냉동창고에 비해 약 70% 전력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저비용 냉동물류창고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부지는 약 11ha(11만㎡)이며 시설용량은 11만팔레트(약 10만톤), 총사업비는 1억달러(약 1,320억원)다. 사업주는 한국‧베트남이 합작한 특수목적법인(SPC)인 커넥트로그(ConnectLog)이며 우리나라 FI(Financial Investor) 자본이 60% 지분을 차지한다. EPC(Engineering‧Procurement‧Construction: 설계‧조달‧시공)는 대우건설이 수주했으며 팀코리아(Team Korea)로 진출한
DX 전문기업 LG CNS가 전라남도 나주시에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 서비스에 나섰다. 전남도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부터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플랫폼사업을 추진해 왔다. 사업은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에 위치한 54만3,000㎡(16만평, 축구장 면적의 약 76배) 규모 노지에 지능화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팜은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IT를 통해 농작물 등의 생육환경을 제어·관리하는 차세대 농장을 말한다. 이번 사업에서 LG CNS는 DX 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팜의 두뇌 역할을 하는 지능화플랫폼을 구현했다. LG CNS의 지능화플랫폼을 활용하면 농사 전 과정을 통합관리해 농작물의 생산량을 극대화하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능화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지능형서비스 △생산량 및 가격예측 △무인 농기계 관제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기반 지능형서비스는 토양·기상·병해충 발생 등 농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최적의 농사 가이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토양 상태·성분 등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어떤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알파라발이 식품생산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웨비나를 개최한다. 6월25일 오후 2~3시 진행되는 이번 웨비나는 ‘에너지와 물 절감 솔루션을 통한 식품생산 공정에서의 지속가능성 및 안전한 식품 생산(Sustainable food manufacturing and food safety focus on energy and water saving)’을 주제로 진행된다. 전 세계 에너지의 1/3이 사용되는 식품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은 큰 이슈다. 한국알파라발이 주관하는 이번 웨비나에서는 식품생산의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최신 기술을 사례 위주로 소개한다. 이번 웨비나의 주제는 크게 ‘에너지효율(Less energy, Less emissions)’과 ‘물사용 효율(Less Water)’이라는 두 세션으로 구성된다. 에너지효율 세션에서는 식품 제조의 안전기준, 품질 최적화,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열교환 솔루션과 에너지 세이빙을 위한 원심 분리 및 푸드시스템 솔루션이 소개된다. 물사용 효율세션에서는 식품공정에서의 CIP 품질향상과 물의 양을 절감하는 효율적인 방안을 다룬다. 또한 김현민 대한상공회의소 센터장이 오프닝 세션에서 식품산업 공정에서의 ESG 트렌드를 소개하며 한
이커머스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물류부동산이 유망한 대체 부동산 자산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쿠팡의 로켓배송, 네이버의 도착보장, 이마트의 쓱배송 등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며 신속하고 편리한 배송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물류컨설팅팀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물류센터 수요가 폭발하며 공급이 급증했으나 최근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감소와 급격한 물류센터 공급과잉으로 물류부동산 개발 투자 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전 세계 60개국 400여 개 지사에 약 5만2,000명의 전문가들을 둔 부동산 소유주들과 임차인들을 위한 선도적인 글로벌 상업용부동산 서비스 회사다. 2023년에 부동산, 시설 및 프로젝트 관리, 임대, 매입매각자문, 밸류에이션 등 핵심서비스 부문에서 95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유통물류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이커머스 수요 폭발에 대응하기 위해 최적의 물류입지, 규모, 구조 등에 대해 별다른 기준 없이 추가인프라 확보에만 치중해왔다. 개발투자사도 국내 물류산업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미래 시장가치에 대해 명확한 분석 없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유통물류시장이 급격한 성장
육류유통 플랫폼기업 어니스트초이스(대표 배수형)가 열전소자 전문기업 성하에너지(대표 장윤희)와 함께 수냉식 스마트 열전소자를 적용한 냉장 스마트트롤리, 냉장 스마트도마를 개발해 공백없는 콜드체인시스템을 구축했다. 어니스트초이스는 한우‧한돈‧수입육 등 육류를 생산과 동시에 촬영해 이미지 그대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플랫폼이다. AI솔루션을 통해 실물 육류이미지를 토대로 지방분포도 산출, 영향요인을 분석하며 근육조성‧지방함량을 분석해 차등가격을 산출, 판매이미지와 고객주문을 매칭해 고객이 선택한 이미지와 동일한 제품을 배송한다. 그간 육류유통 시 냉장창고, 냉장탑차를 이용해 신선도를 유지해왔지만 상‧하차, 손질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돼 콜드체인을 빈틈없이 유지하기 어려웠다. 육류는 상시 5℃ 이하를 유지해야만 생산당시와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신선도 유지 및 미생물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스마트트롤리는 수냉식 열전소자를 이용해 적은 에너지로도 생산이후 상‧하차, 배송 시 저온유지가 가능하며 도마 후면에 열전소자를 부착한 스마트도마를 통해 상온노출 없이 정온을 유지할 수 있다. 어니스트초이스의 관계자는 “한국식품연구원의 제조로봇 선도보급사업의 일환으로 육가공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동향은2018년 COP24에서 합의된 투명성 체계의 세부원칙, 절차 및 지침에 따라 기후변화협약 모든 당사국은 2024년 12월31일까지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를 UNFCCC에 제출해야 한다. 신기후체제에서 모든 당사국은 2006 IPCC 지침에 따라 투명성, 정확성, 완전성, 일관성, 비교가능성 원칙에 근거하여 인벤토리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20년 2월 제2차 국가 온실가스 통계 총괄관리계획을 수립했으며 현재 2006 IPCC 지침 기반 온실가스 인벤토리 배출량 산정을 준비하고 있다. 199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단일방법론을 적용했으나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티어1‧2 수준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2019 IPCC 가이드라인에서 가장 큰 변화로 냉장‧냉방분야에서 이동식 에어컨의 배출계수를 세부적으로 명시하는 한편 선진국 배출계수 예시를 제공해 산업계 특성을 반영하는 배출계수 설정을 유도한다. 수송용 냉방부문 배출계수를 배, 철도, 버스, 기타 분야로 세분화했으며 기타 하위용도 또한 배출량산정 정확도 제고를 위해 일본, 미국, 독일의 세부용도 배출계수를 제시해 유사한 시스템, 제도가 있는 국가의 사용을 권장
F-gas 관리실태를 진단하면2012년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18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에서 삼불화질소(NF3)가 7번째 온실가스로 지정되면서 기존 3개의 F-gas(HFCs, PFCs, SF6)에서 총 4개가 규제대상에 포함됐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지난 2021년 12월 UNFCCC에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따르면 NF3는 활동데이터 부재로 현재 인벤토리에는 빠졌지만 데이터가 취합되면 향후 반영하겠다고 언급돼 있다. HFCs도 관리가 미흡하기는 마찬가지다. 냉매는 매년 심화되는 폭염과 열대야로부터 열을 식혀주는 에어컨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건설발포제, 소화기, 식품 콜드체인 등 여러 산업과 시장이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이다. 실제로 1990년 대비 HFCs의 2020년 배출량은 577.9% 증가했다.2022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따르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F-gas는 1,514만tCO2eq으로 약 2.3%를 차지한다. 그러나 기후변화센터에서 2020년 한국환경공단 및 수출입통계에 따라 추산한 2020년 국내 HCFC, HFC 잔존냉매량은 약 6,300만tCO2eq로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 National Inventory Report)에 냉매, 단열재 발포제 등으로 사용되는 불소계 온실가스(F-gas)가 제대로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배출량이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0%에 달하는데도 온실가스가 배출원으로 관리조차 되지 않고 있어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는 실제로는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으면서도 통계에 잡히지 않아 감축목표는 물론 감축정책도 수립할 수 없다는 의미다. 이 경우 NIR을 기반으로 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 탄소중립을 달성하더라도 탄소중립의 궁극적인 목적인 지구 평균온도 상승 1.5℃ 이내 유지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 그나마 지난해 무역품목분류코드인 HS코드에 HFC 18종에 대한 코드가 새롭게 부여됨에 따라 통계작성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지만 아직 이를 기반으로 한 배출량이 산정되지 못한 상태다. 이에 더해 새로운 HS코드에 따른 HFC 가스별 온실가스 소비량이 집계되더라도 잠재배출량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산정하는 방식으로는 감축량 및 감축목표 달성에 한계가 존재해 개선이 시급하다. 이번 기획에서는 NIR에서 제대로 관리
GS25가 스마트팜에서 키운 딸기를 공급받아 역대 출시일이 가장 이른 10월에 딸기 샌드위치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스마트팜기업 넥스트온과 협업을 통해 업계에서 가장 빠른 오는 24일 온라인 예약주문을 통해 ‘넥스트 딸기 샌드위치’를 출시한다. 평년보다 빠른 출시이지만 균일하고 고품질 딸기를 사용한 샌드위치로 고객들에게 즐거움과 더 큰 만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품질 딸기를 사용해 가격은 4,900원으로 높은 편이나 출시기념으로 1800원 할인된 3,100원에 판매한다. 딸기 샌드위치는 매년 11월 온라인 예약 주문을 개시하며 딸기의 계절이 왔음을 홍보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GS25의 온라인 딸기 샌드위치의 2022년 매출을 살펴보면 전년대비 약 215% 상승세를 보였다. 넥스트온은 저온성 한국딸기를 세계 최초로 연중 재배에 성공한 스마트팜기업이다. 딸기는 스마트팜 재배상품 중 최고난이도급 작물이지만 넥스트온은 최첨단 기술을 통해 연중 균일품질의 상품재배에 성공해 상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재배 토탈솔루션 수출 등을 통해 K-스마트팜의 우수한 기술력을 알리고 있다. GS25는 폐수발생 없이 UV 소독을 통한 물 지
전기를 아끼면 보상받을 수 있는 국민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 제도를 확산하기 위해 공공기관, 지자체, 기업 등 민관이 힘을 합친다. ‘에너지쉼표’로 명명된 국민 수요반응(DR)은 가정이나 소형점포와 같은 계약전력 200kW 이하 소규모 전기사용자가 참여 가능한 수요반응 제도로 수급비상 예상 시 또는 미세먼지 경보 시 등에 전력거래소에서 발령한다. 이때 조명을 끄고 냉방기 온도를 조절하는 등 전력소비를 감축하면 감축량에 대해 2022년 기준으로 kWh당 1,600원 수준의 보상이 지급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지난 12일 코엑스에서 관련 공공기관·지자체·기업 등이 참여하는 ‘국민 수요반응(DR) 활성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여름철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이바지할 수 있는 수요반응 제도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최근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국민의 요금부담 경감과 절약문화를 정착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토론회는 전력거래소의 국민 수요반응(DR) 운영계획, 수요관리사업자의 참여사례 및 효과 등 발제가 진행됐으며 이후 간담회에서는 상업시설 참여 유도, 지자체 제도 연계, 계량 기반시설 활용 등 제도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샌드위치패널 관련 원료·성형·제조사의 경우 지난해 물류창고 신축수요 폭증에 따라 전반적으로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폴리우레탄(PU), 비드법발포폴리스티렌(EPS) 샌드위치패널기업은 매출증가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원자재가 인상에 따라 SM(Styrene Monomer: 스티렌 모노머), BD(Butadiene: 부타디엔), PPG(Polyprop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등 가격이 모두 상승하면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 수익성 측면에서는 대부분 역성장했다. 에이피텍은 지난해 매출 681억7,200만원으로 전년 559억5,000만원대비 21.8% 성장했으나 영업이익은 2020년 67억3,900만원에서 2021년 32억5,600만원으로 51.7% 떨어졌으며 당기순이익도 같은 기간 54억2,600만원에서 30억5,800만원으로 43.6% 감소했다. 비버판넬 역시 매출액은 2020년 300억9,000만원에서 2021년 374억2,400만원으로 24.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지난해 10억1,600만원으로 전년 16억6,40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