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대표 조주완)가 동남아 공조시장 입지확대를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LG전자는 최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초고효율’ 구현에 집중해 개발한 HVAC솔루션을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공급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 투아스(Tuas)지역에 건설된축구장 약 9개 크기와 맞먹는 초대형 물류센터에 LG전자의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 V i)’를 공급했다. 이 물류센터의 규모는 연면적 5만9,800m²로 LG전자는 뛰어난 제품성능과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조사 중 유일하게요구조건을 모두 충족시켰다. 이번 물류센터는 싱가포르 건축청이 제정한 친환경건물인증 프로그램인 ‘그린마크’ 최고등급인 ‘그린마크 플래티넘 SLE(Super Low Energy: 초고효율)’ 획득을 목표로 설계됐다. 인증 획득을 위해서는 건물 내 전체 시스템효율이 엄격한 기준치를 충족해야 하며 HVAC 장비의 효율측정 및 리포트기능이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등 요구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특히 물류센터에서는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상품의 품질유지와 손상방지를 위해 고성능 HVAC솔루션이 필수적이다. LG전자는 건물의 초고효율 등급 달성을 위해 기
산업용 냉장·냉동 솔루션 전문기업 아르네코리아(Arneg korea)는 최근 ‘심재준불연 우레탄 판넬’에 대한 품질 인정서를 획득해 고기능 단열재시장에서 기술력과 제품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입증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인증을 획득한 ‘심재준불연 우레탄 판넬’은 2021년 12월23일부로 시행된 건축법 및 관련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공장 및 창고시설 등에서 사용이 의무화된 ‘품질인정 복합자재’ 기준을 충족한 제품이다. 개정된 법령에 따르면 강판과 심재로 구성된 복합자재를 마감재료로 사용할 경우 강판과 심재 전체에 대해 국토교통부 고시 기준에 따른 실물화재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강판은 두께 0.5mm 이상, 도금량 180g/㎡ 이상(아연도금 기준)으로 2회 이상 도장 처리돼야 한다. 또한 심재는 불연 또는 준불연 성능을 갖춘 소재여야 한다. 아르네코리아의 ‘심재준불연 우레탄 판넬’은 실물화재시험을 통해 화재 시 초기 확산 방지 및 인명·자산 보호 성능을 검증받았으며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 건축법 제52조의5에 따라 품질인정자재로 공식 등록됐다. 품질인정을 받은 판넬은 외부를 두께 0.5mm 이상 강판으로 마감하고 내부에는 밀도 38kg/㎥의 경질 우레탄폼(두께 99~
신선식품 새벽배송 선두기업 팀프레시가 자금난으로 인해 새벽배송에 이어 풀필 먼트서비스까지 중단해 업계에 파장을 일으켰다. 특히 신선물류 새벽배송시장에서약 90%를 점유하고 있었던 팀프레시의 위기는 콜드체인 물류전반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팀프레시는 3월31일 고객사에 공문을 보내며 ‘새벽배송서비스 일시중단’ 사실을 알렸다. 4월1일로 계획됐던 투자금 납입일정이 지연돼 배송기사 운행거부가 예상되며 전체적인 배송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유였다. 당시 팀프레시는 4월 10일 투자금 납입을 예상하며 새벽배송 재개를 언급했지만 결국 4월16일 고객사에 공문을 전달하며 새벽배송서비스에 이어 풀필먼트서비스 중단을 공지했다. 투자금 납입지연과 자금측면의 돌발변수로 인해 서비스의 정상운영이 어렵게 됐다는 설명이다. 팀프레시는 2018년 새벽배송대행업을 시작으로 풀필먼트사업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해왔다. 설립 첫 해 연매출 27억원에서 2022년 2,300억원, 2023년 3,884억원, 2024년 5,444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2년 시리즈D 투자라운드에서 1,320억원의 기관자금을 유 치하며 누적 투자유치액이 2,000억원에 달
embraco는 전 세계 냉동·냉장기술시장을 선도하는 압축기 전문 제조사로 분수마력 압축기부문에서 글로벌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50년 이상 냉동·냉장산업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고성능 압축기를 개발해왔다. 특히 가정용과 상업용 냉동·냉장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기술을 바탕으로 냉동솔루션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2025년 현재 embraco의 한국 대리점은 단 2곳이다. 지난해 Beijer Ref Korea가 embraco의 새로운 한국 대리점으로 합류한 이후 기존 대리점 중 하나가 철수를 결정함에 따라 Beijer Ref Korea는 한국 내 embraco 유통망에서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 Beijer Ref Korea의 embraco 시장확대 전략은 명확하다. 정속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소형 냉동시장에 가변속도 전환 트렌드를 주도하고 친환경 냉매전환을 가속화해 미래시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한국시장은 아직까지 정속형 압축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가변속도 압축기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냉매 역시 GWP가 낮은 친환경 냉매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러
신선식품 새벽배송 선두기업 팀프레시가 자금난으로 인해 새벽배송 서비스를 일부 중단했다. 팀프레시는 3월31일 고객사에 공문을 보내며 ‘새벽배송서비스 일시중단’ 사실을 알렸다. 공문에 따르면 새벽배송서비스는 3월31일 중단돼 오는 4월21일 재개된다. 서비스 중단 필요성에 대해 팀프레시의 관계자는 “4월1일로 계획됐던 투자금 납입일정이 지연돼 배송기사 운행거부가 예상되며 전체적인 배송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팀프레시는 2018년 새벽배송대행업을 시작으로 풀필먼트사업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해왔다. 설립 첫 해 연매출 27억원에서 2022년 2,300억원, 2023년 3,884억원, 2024년 5,444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는 기업공개(IPO)도 추진하고 있다. 팀프레시는 2022년 시리즈D 투자라운드에서 1,320억원의 기관자금을 유치했으며 현재 누적 투자유치액이 2,000억원에 달한다. KT가 지분 17.79%를 보유한 1대 주주이며 2대 주주는 이성일 팀프레시 대표다. 가파른 매출성장과 같은 외형 성장세는 뚜렷했지만 반대로 영업적자는 지속됐다. 업계는 3PL·풀필먼트기업 경쟁격화 및 쿠팡·컬리의 자체 물류망 구축이 원
온라인시장 확대 등으로 일회용 택배 포장폐기물 발생량이 급증하고 있다. 연간 택배시장 물동량은 2012년 14억개에서 2023년 51억개로 약 3.6배 증가했다. 또한 일회용 수송포장재 폐기물은 연간 200만톤 이상 발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일회용 택배 포장재 규제와 다회용 택배 포장재 지원에 대한 정책을 개정했으며 환경표지인증, 녹색인증 등의 환경관련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신트로밸리는 친환경 콜드체인솔루션을 위한 다회용 전환 전문기업이다. 일회용품 절감과 순환물류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해오고 있는 최동호 신트로밸리 대표를 만났다. ▎ 신트로밸리는 설립배경은신트로밸리는 일상 속 일회용품의 다회용 전환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일회용쓰레기가 넘쳐나는 심각한 사회문제 속에 친환경 생태계를 선도할 목적으로 설립했다. 식품, 바이오의약품, 반도체 등 정온물류분야에서 콜드체인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포장용기, 드라이아이스, PCM(Phase Change Material: 상변화물질)냉매 등 관련시장도 차츰 성장해왔다. 문제는 콜드체인을 완성하는 관련제품들이 대부분 일회용 제품이라 폐기물도 함께 많아졌다는 것이다. 일회용 제품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트로밸리는
예스티(YEST)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전문기업으로 퍼니스(Furnace: 열처리장비), EDS칠러(Electrical Die Sorting Chiller), 챔버(Chamber) 등 다양한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 EDS칠러는 반도체 웨이퍼(Wafer)에 형성된 칩의 전기적 동작여부를 검사하는 EDS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는 칩의 정확한 테스트와 안정적인 공정유지를 돕는 역할을 하는 설비로 반도체 EDS공정분야 필수장비다. 예스티는 메모리 및 파운드리 fab(fabrication: 반도체 제조라인) 내 약 1,900대의 EDS칠러를 유지보수·관리하고 있으며 매년 EDS공정용 신규장비를 200대 이상 출하하고 있다. 또한 초저온(-80°C) 신기술 냉각장치 및 진공배기, 열풍제어기술 등 다양한 열원제어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66건의 특허권을 등록했다. 최근 고온 및 저온 정밀제어기술로 콜드체인산업으로 영역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전영호 예스티 CTO를 만나 예스티 칠러의 경쟁력과 향후 비전 등을 들었다. ▎ 예스티를 소개한다면예스티는 1998년 설립된 기업으로 2015년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7,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반도
‘ISH China & CIHE 2025’(이하 ISHC)가 지난 2월 베이징 중국국제전시센터 순이홀에서 개최됐다. 미국·독일·캐나다·덴마크등 18개 국가 1,030개 기업들이 참가했으며 방글라데시·캐나다·에티오피아·독일· 일본·카자흐스탄·러시아·한국을 포함한 59개국에서 온 총 7만7,500여명의 방문객이 박람회에 참석했다. ISHC 박람회는 △난방(Heating)솔루션 △에너지(Energy)솔루션 △물(Water) 솔루션 △편안함(Comfort)솔루션 △설치및 정보(Installation & intelligence) 등의 5 개부문으로 그룹화해 진행됐다. 리우 롱(Liu Rong) 중국 지역난방협회 (CDHA) 부국장은 “1996년 첫 개최 이래 ISHC는 아시아 난방산업의 핵심행사로 떠올랐으며 최신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업계소통과 협력을 촉진해 관련 정책개발을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다” 라며 “동시 개최된 ‘중국 국제 제로탄소 난방대회’는 도시 저탄소 통합에너지시스템과 난방보안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으며 향후 난방산업은 저탄소를 지향하며 안전한 솔루션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중국로컬기업 탄소중립 지향박람회를
서울 수도권역 최근접 도심형 복합물류센터인 로지스코 안산물류센터가 뛰어난 입지와 효율적 물류배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3년 준공된 로지스코 안산물류센터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안산IC까지 5.6km로 평택시흥고속도로와, 서안산IC까지 5.5km로 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된다. 영동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를 통해 서울을 포함한 인천, 부천, 군포, 시흥, 수원 등 주요 도시에 배송이 가능한 교통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수도권 최대 1일 3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안산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중소기업이 위치한 도시로 1만개 이상의 기업이 위치해 있으며 약 28만세대가 거주 중이다. 경기도에서 생산인구(15~64세)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타 지역대비 인력수급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총 9개 챔버 개별 온도제어 로지스코 안산물류센터는 연면적 5만4,833m²(약 1만6,586평)로 지하 2층부터 지상 8층 규모이며 층고는 9.5~10m이다. 주차는 지상 1층과 지상 8층에 공간이 마련돼 있으며 전층 차량접안이 가능하다. 지하 2층 및 지상 1, 3층은 상·저온, 4~7층은 상온, 지하 1층과 지상 2층은 사무실, 지상 8층은 식당·주차
특정물질공급업체협의체가 환경부가 지난 12월18일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소불화탄소 관리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높은 GWP냉매 사용제한 규제로 인해 특허물질 독점이 우려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정물질공급업체협의체는 최근 회원사 13개사가 참석한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발표안의 규제 분석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환경부의 발표안은 High GWP냉매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방안으로 ‘제품군별 Low GWP물질 전환 일정’을 담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에 발맞춘 조치다. 다만 협의체는 대체 물질로 거론되는 HFO물질의 안전성과 높은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국민 안전을 지켜야 할 정책이 오히려 높은 비용과 안전성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HFO물질, 안전성 논란? 협의체의 관계자는 “HFO계열 물질은 대부분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소 시 불화수소(Hydrofluoric Acid)나 불완전 연소 시 포스겐(Phosgene)과 같은 유독가스를 배출할 가능성이 높아 취급과 사용에 상당한 주의와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소 시 발생되는
농업통합솔루션을 구축해 지속가능한 스마트팜산업을 주도하는 퍼밋이 고효율 식물공장 설계를 통해 업계이목을 끌고 있다. 스마트팜은 지난 몇 년 전부터 차세대 유망산업군으로 꼽히며 업계를 불문해 주목받아오고 있는 산업이다. 하지만 쏟아지는 관심에 비해 실체가 명확히 정의되지 않는 산업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스마트팜 특성상 에너지다소비 산업군으로 평가돼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퍼밋은 농업인의 수익증대와 실용적이며 진정한 미래농업실현을 목표로 스마트 농업분야의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다. 스마트팜 구축부터 △우수종자 개발 △고품질 육묘공급 △작물재배 솔루션 △농산물 가공·유통 등 전 과정에 걸친 ‘ 통합농업 솔루션’을 제공하며 퍼밋 만의 차별성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엔 ‘4세대 에너지절감형 식물공장’ 을 출시해 지속가능한 미래농업을 실현할 식물공장사업 확대에 나섰다. 최적 공간활용·E절감 등 효율성 증대퍼밋이 구축하는 스마트팜 차별성은 수랭식 LED를 적용해 에너지를 절감하며 이동식 LED시스템을 통해 높은 공간활용도를 추구한 점에서 드러난다. 또한 고효율 HVAC시스템을 적용해 환경제어와 에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