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FCs 냉매전환을 주제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달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대해 정부와 민간이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열렸다.
칸kharn과 콜드체인뉴스는 1월8일 국회의원회관 1소회의실에서 ‘탄소중립 실현, HFCs 냉매전환 방향은’을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냉동냉장설비 산업계및 관련종사자 등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토론회는 칸Kharn과 콜드체인뉴스가 공동주최로 개최됐으며 주제발표 이후에 패널토의로 구성됐다. 주제발표는 △글로벌 저GWP 냉매전환 현황(장영수 대한설비공학회 친환경냉 매부문위원회 위원장) △저GWP 냉매사 용기기 활성화 필요성(라재붕 식품콜드체인협회 전무) △국내 냉매규제 및 대체냉매 전환 방향은(김영성 한국환경공단 과장) 등이 진행됐다.
패널토의는 최준영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박사가 좌장을 맡았으며 발표자를 비롯해 △윤성필 냉동냉장수협 팀장 △오종택 전남대 냉동공조학과 교수 △염정섭 환경부 기후전략과장 △심규승 산업부 화학산업팀 주무관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냉매전환, 기후재난시대 필수 요소
송두삼 설비공학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HFCs 냉매전환은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시의적절한 주제”라며 “유엔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2024년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지구온난화 임계기준인 1.5℃를 넘어섰다고 하며 지난 1년간 우리는 더 이상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을 미뤄서는 안 된다는 걸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인 활동이 드러나야 하는 시점에서 친환경냉매 전환은 대단히 중요한 이슈”라며 “확실시되는 냉매전환이 국내산업에 어떻게 안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길 바라며 향후 글로벌 냉매 규제에 따른 국내산업의 글로벌진출 방향성도 함께 고민해봤으면 한다”고 토론회 의미를 짚었다.
정명수 식품콜드체인협회 명예회장은 축사를 통해 “지난 여름 기상이변과 폭염, 폭우 등을 겪으며 우리나라도 아열대성 기후대에 들어선 것이 아닌지 하는 우려와 지구온난화가 더 이상 다른 나라 얘기가 아님을 실감하게 됐다”라며 “토론회 주제인 탄소중립을 위한 냉매전환은 콜드체인업계가 당연하게 가야 할 방향이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현실이기에 큰 고민들이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분야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류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식품및 의약품 품질보존을 위해 상품의 개별 적인 온도맞춤 조건을 갖추며 발전해나가고 있다”라며 “이 가운데 우리는 국제적인 냉매규제에 대응하며 콜드체인산업을 육성해야하는 현실에 직면하게 돼 이번 토론회에서 정부와 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지금 현실을 대비할 수 있는 좋은 대응책을 발견할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기획을 통해 토론회에서 다뤄진 현재 HFCs 냉매전환 현안을 산업계와 학계 및 정부기관의 입장에서 정리했다. 특히 토론회 말미에 진행된 패널토의에서는 강연에서 다루지 못한 산업현장의 목소리와 업계 간 소통의 자리가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