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에 창립해 산업용 냉동·냉장장비 전문제조사로 성장한 경동산업은 전국 50여개 대리점과 20여개 전문판매점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2002년부터 수출을 시작해 2014년 1,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국내·외에서 500억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주력 사업분야는 산업용·상업용 냉동·냉장장비로 지라벡(ZIEHL-ABEGG) 일체형 팬을 적용한 K, PZ타입의 유니트쿨러와 한벨, 보크, 댄포스 스크롤압축기를 사용해 제작하는 콘덴싱유니트(CONDENSING UNIT) 제품이 각광 받고 있다. 에너지절감을 위해 EC모터를 장착한 유니트쿨러(Unit Cooler)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유니트쿨러는 인체 및 식품에 무해한 도료를 사용해 파우더코팅을 했으며 HACCP 기준에 적합하다. ZIEHL-ABEGG 일체형 팬모터를 적용해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시켰다. 실용신안을 획득한 드레인패널도 적용했다. 상업용 모델인 SMART 7은 일체형 Unit으로 제작돼 따로 배관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비용 절감효과가 크다. 특히 완제품으로 제작돼 냉매충전 및 시운전 테스트가 완료된 상태에서 출고하고 있다. 냉동·냉장 부품판매도 활발하다. 압축기는 GEA BOCK,
아르네코리아는 냉장냉동 쇼케이스, 냉동기, 저온저장고, 진열대 등 유통 매장용 통합설비의 생산, 공급을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매장의 콘셉트에 맞는 신규 아이템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매장 통합관리서비스를 개발, 지원하고 있다. 국내 중대형 거래선 및 전국적인 유통전문점, 대리점(61개)망을 포함해 동남아를 비롯한 아시아 각국으로 수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미래를 위한 냉동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아르네코리아는 이탈리아의 최첨단 자동화 설비시스템으로 안정된 품질과 신속 정확한 생산, 납품을 약속한다. 에너지절감을 위해 고밀도의 친환경 경질 우레탄폼 보온재(KS M3809 2조 1호)를 적용해 단열성이 뛰어나며 기초 조립대는 고강도 PVC를 적용해 습한 조건에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뛰어난 난연 및 준불연 성능을 갖춘 난열패널사업을 올해 주력할 계획이다. 단열재산업, 단열·난연 성능 강화2010년 이후 e-커머스시장 확대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물류센터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물류센터를 투자 목적으로 매입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2013년 이후 국내 물류센터 투자규모는 과거대
롯데알미늄 EM사업본부는 △플러그인 냉동·냉장 쇼케이스(수직형, 평대 등) △CVS용 오픈 쇼케이스 △상업용 냉장고(수출형) △자판기 등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쇼케이스 수출용 제품의 냉매 및 발포제를 친환경으로 2019년 변경했으며 지난해 국내용 쇼케이스에도 친환경 냉매와 발포제로 전환했다. 냉매의 경우 기존 R404A, R134a를 R290으로, 발포제의 경우 R141b를 사이클로펜탄으로 전환했다. 롯데알미늄 EM사업본부의 관계자는 “R290은 탄화수소 냉매로 독성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오존층파괴지수(ODP)가 없으며 지구온난화지수(GWP)도 매우 낮다”라며 “사이클로펜탄은 오존층 파괴물질인 HCFC계열이 아닌 친환경 물질을 사용해 선진국 환경기준을 만족하는 소재”라고 강조했다. 기존 시스템쇼케이스 및 냉동창고 등 수주성 사업을 2020년말로 중단한 롯데알미늄 EM사업본부는 △연중 365일 운영 체계 △점포별 책임 전담 서비스 기사제 도입 △전국 통합 콜센타 운영(긴급 CALL 접수 후 3시간 이내 방문) △전국 약 70개 AS지정점 운영 등으로 신속한 사후관리도 가능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냉동스토커·스마트쇼케이스 주력주력제품 중 하나인 냉동스토커(
비대면산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온라인시장은 커지고 있지만 전통적인 오프라인 마트시장이 줄어들고 있어 기존 오픈 쇼케이스시장의 성장한계가 두드러지고 있다. 시장경쟁 역시 치열해지고 있어 관련업계는 새로운 미래먹거리를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대형마트, 편의점시장의 상업용 냉장고, 쇼케이스분야 선두를 달리고 있는 캐리어냉장(대표 김병렬)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신사업 발굴에 한창이다. △오픈쇼케이스 사업 △플러그인 플랫폼 △콜드체인 사업 △가전 신사업 등 4개의 TFT를 구성해 본사와 대리점, 고객이 함께 비전과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어내고 있다. 쇼케이스·플러그인시장 리딩쇼핑의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형마트의 신규출점은 소식을 듣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시장악화에 따라 상업용 쇼케이스에 대한 경쟁 역시 격화되고 있으며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캐리어냉장은 오픈 쇼케이스 제품에 대한 원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설치품질 강화를 위한 혁신방안 마련에 돌입한다. 특히 지난 2월 개최한 ‘2021년 캐리어냉장 신제품 및 정책설명회’에서 밝힌 상업용 냉동·냉장부문 인버터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품질관
한국마이콤(대표 Satoru Takaki)은 1924년 ‘고객과 함께 생각하며 창조하다’라는 모토로 창립된 일본의 마에카와의 한국법인이다. 1973년 창립 이후 산업용 냉동기·냉각장치제조 및 시스템설계, 시공, 컨설팅, 감리 등을 수행하며 열에너지 토탈 엔지니어링기업으로 성장했다. 한국마이콤의 주요 사업분야는 △산업용 냉동기 및 각종 가스컴프레서 제조·판매 △냉동냉장창고 냉각설비 설계·시공 △농축, 수산, 식품, 음료 관련 제조프로세스 냉각설비 설계·시공 등이다. 특히 산업용 냉동기의 선두기업으로 △열병합발전 △고효율시스템을 통한 에너지절약 △자연냉매 냉각시스템 등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는 친환경기술의 연구개발도 지속해오고 있다. 냉매규제 대응 친환경 냉동솔루션 제공 한국마이콤의 제품 중 대형 냉동·냉동창고를 위한 제품으로 에너지절감형 냉매량 최소충전 패키지인 ‘NH₃·CO₂브라인 패키지(MC-500)’가 있다. NH₃·CO₂ 브라인시스템은 암모니아를 냉매로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냉각하고 액화된 이산화탄소를 펌프로 보내 냉각·동결하는 방식이다. 암모니아 충전량을 기존 제품대비 85%(0.5kg/kW)로 줄이기 위해 수냉방식을 적용해 시스템을 1대의 냉동기로 운
존슨콘트롤즈코리아(대표 하운식)는 최근 한국 맞춤형 냉동기패키지 유닛 제품을 출시, 납품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열리는 국내 최대 냉난방공조전시회인 ‘HARFKO 2021’에 출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존슨콘트롤즈는 콜드체인산업 중 냉동·냉장창고 규모를 기준으로 중형 규모에 적합한 일본 히타치(Hitachi)의 반밀폐 스크류압축기 유닛을 보유하고 있다. 단단압축기 유닛과 이단압축기 유닛으로 분류되며 40~180HP의 용량을 제공하고 있다. 단단압축기는 주로 중·소형 물류창고에 적합하며 이단압축기는 급속동결실 및 프리저설비에 적합하다. 100~1,000HP 용량을 제공하는 프릭(Frick®), 요크(York®), 사브로(Sabroe®) 등 개방형 스크류 압축기는 중대형 물류창고 및 대형 프리저설비에 주로 적용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 존슨콘트롤즈는 반밀폐 스크류압축기 타입과 개방형 스크류 압축기 타입의 유닛 제품 라인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중대형 냉동·냉장창고에 적합한 제품을 폭넓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은 각각의 현장 요구사항에 맞춰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세계적 수준의 기술과 풍부
Carel은 고효율 시스템을 요구하는 공조 및 냉동·냉장분야에 최고 수준의 하이테크 장비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된 IoT 관련 솔루션들은 공조 및 냉동·냉장 솔루션과 결합해 통합관리에 대한 시장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 주고 있다. Carel의 관계자는 “통신을 기반으로 한 매장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Cloud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 그리고 Bluetooth 및 NFC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플랫폼의 전자식 콘트롤러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모니터링 솔루션 ‘BOSS’ 라인업 확대 BOSS는 대형마트 및 중소마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다. Wi-Fi가 내장돼 있어 모바일기기를 사용해 언제든지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른 네크워크에 연결하지 않아도 직접 BOSS에 접속할 수 있다. Carel의 BOSS 및 다른 모니터링 솔루션들은 Carel의 통합 리모트 모니터링 서비스인 RemotePRO에 연결 가능하며 RemotePRO와 모니터링 통합 솔루션을 활용해 원격으로 특정 매장의 모니터링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레벨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전반적인 통합시스템 정보를 통해 각 매장의
부성(이보웅·이용복 공동대표)은 1984년 11월 설립돼 △냉동·냉장 콘덴싱유니트 △유니트쿨러 △압력용기 △저·중온, 공조냉동기 등 산업용·업소용 냉동기 및 일반공조시스템의 각종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에머슨 △FLOW CONTROLS △SAGINOMIYA △Embraco △aspera △CAREL 등 해외기업의 압축기, 밸브, 조절기를 생산·수입하고 있다. 부성은 △건전한 기업문화 정립 △최고의 원가절감 △최고의 품질관리 △최고의 기술로 최고의 상품 등을 표어로 생산설비를 첨단화시키는 등 자동화 라인을 구축했다. 또한 ISO 9001인증, NSF·ETL인증을 획득하는 등 품질경영을 진일보시켰으며 IMF의 어려운 경제상황에도 불구하고 해외의 유력기업들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2015년 제2공장 준공을 통해 매년 5% 이상 매출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2019년에는 매출 581억원을 달성했으며 2021년에는 인버터유니트 2~20HP 개발을 통해 편의점 및 마트시장을 공략하며 인버터 항온항습기 7.5~15HP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오는 2022년 후반기에는 1만1,570m² 규모 부지에 청라 3공장 준
지멘스는 성장성이 높은 콜드체인산업에서 농산물 등의 품온을 낮춤으로써 얻는 신선도 유지와 함께 각 농산물 보관에 맞는 최적의 품온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절감 확보, 보존 및 신선도 유지기간 증대 등으로 출하시점을 조절해 생산자, 중간 유통업자 및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유통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치열한 경쟁 속에 있는 물류분야에서 지멘스 시스템과 솔루션을 콜드체인산업 에 적용해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즉 온·습도 등 주변환경 변화에 민감한 식·의약품, 헬스케어, 전기전자 제품의 품질을 보전하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고객에 게 전달될 수 있는 고도의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멘스의 관계자는 “지멘스가 보유하고 있는 선진적인 제어솔루션 및 제품, 클라우드 및 IoT기술 등을 콜드체인산업에 적용해 국내 산업이 한 단계 높은 선진단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Climatix IC·CSC, 물류창고서 ‘호평’ 지멘스는 현장 관리자부터 최고 경영진까지 각 단계별로 관리 및 보고서를 제작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및 IoT를 기반으로 한 Climatix
냉동·냉장시스템 전문기업 위드(대표 권오영)는 세계적인 명성의 독일기업 BITZER(비처), GUENTNER(군트너)와 파트너십을 맺고 우수한 선진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국내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비처와 군트너의 대리점 운영을 통해 접한 냉동·냉장산업의 국제적 트렌드와 최신정보도 함께 전달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최적설계를 권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위드는 기술적으로 뒤처져있던 국내 저온냉동기시장을 한 단계 향상시켰다고 평가받고 있다. 농산품은 저온저장 중에도 끊임없이 상태가 변하는 성질로 인해 농산물 저온 저장창고는 냉동기술과 저장기술의 융합이 필요하다. 위드를 이끌고 있는 권오영 대표는 20여년간 냉동산업에서 많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쌓아왔으며 농산물 품목별 저장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품목의 농산물을 최상의 상태로 저장하는 저온저장고시스템을 설계, 납품하고 있다. 위드가 공급한 비처의 냉동기와 군트너 유니트쿨러 제품을 적용한 물류센터는 2개소이며 현재 공사 중인 현장은 3개다.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위해 위드는 지난해 사옥을 마련했으며 법인설립을 마친 상태다. 에코스타, 안정성·에너지절감 입증 위드의 관계자는 “정부는 탈원전, 신재생에